광주지산농악(2002,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4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광주시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공로상

종목소개

유래

1950~60년대 말까지 옛 광주시 지산면 일대에 성행하였던 농악을 재현한 것이다.

특색

이 농악은 느린 가락을 부드럽게 변화를 주면서 한가로운 리듬으로 연주를 시작하여 흥을 돋운 다음, 점차적으로 빨라지면서 경쾌한 리듬으로 신명을 살리며 끝을 맺는 '기승전결'을 갖추고 있다. 리듬이 다채로우며, 쇠가락과 춤사위가 강조되면서 놀음놀이에서 윗놀이 보다 밑놀이에 치중, 장고가락이 매우 발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개인놀이가 조화롭게 발달되어 있는 것도 특색이다. 고깔 소고놀이는 타 농악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하고 구성진 몸짓과 발놀음으로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키며, 쇠놀이, 부포놀이는 그 기교가 다양하면서도 섬세한 가락과 율동이 일품이다. 흥과 신명을 실은 가락에 몸짓과 부포짓을 곁들이면 최고의 춤이라고 할 수 있다.

구성

(1) 입장굿 (2) 오채질굿 (3) 오방진굿 (4) 허허굿 (5) 구정놀이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