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원마을 옥가리초집 짓는소리(2016,제주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제주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서귀포시 하원마을회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제주도에서 출품한 옥가리초집 짓는 소리는 옥가리초집을 짓는 과정과 이때 부르는 노동요를 함께 구성한 작품이다. 옥가리초집은 새[茅]를 지붕에 나란히 펴서 쌓고, 긴나무(옥가리)를 가로 눌러 매어 짓는 집을 말한다.

제주 사람들은 농경부터 주거까지 무엇 하나 바람과 무관한 것이 없을 정도로 바람의 영향을 늘 염두에 두어야만 했다. 특히 집을 짓는 과정에서는 더욱더 그러했다. 바람을 막기 위해 돌로 담을 쌓았고, 지붕이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줄 대신 ‘옥가리’를 이용했다. 하원마을 사람들은 옥가리초집을 지을 때 서로 협동했는데, 산에 가서 재목을 베어오는 사람, 집터 다지는 사람 등 각기 소임을 나눠 수눌음으로 집을 마련하기도 했다. 평토작업, 나무베기, 나무내리기, 나무깎기, 흙질, 집줄 등 힘들고 고된 작업이 있을 때마다 마을에는 ‘옥가리초집 짓는 소리’가 울려 퍼졌다.

  1. 터다지기, 나무베기, 깎기 <집터다지기소리> (받는소리) 어허 홍애야 (메기는소리) 삼세번째랑 들렁 놓자 유구단을 살펴보니 한라 영산 줄기 뻗어 우굴쭈굴 내려오니 천리내룡이 일색이요 어허 홍애야(후략)

  2. 목재결구, 흙질, 집줄놓기 <흙질하는소리> (받는소리) 아아하아야 에에헤요 (메기는소리) 작두리 걸머지고 자개도치 둘러메어 불터진개 올라가서 산신고시 지내놓고 버드낭 처자그네 0000 그차보자(후략)

<흙올리는소리>
(받는소리) 이야호 어허어어어 홍애로구나 (메기는소리) 이여차 소리에 흙골라가는 소리로구나 흙골립세 흙골립세 지붕우뜰에 흙골려봅서
지붕에 흙을 잘 골아서 여름엔 선선하고 겨슬엔 맨드롱또똣 갠영허영수다

<새올리는소리> (받는소리) 이야호 어허어어어 홍애로구나 (메기는소리) 이여차 소리에 새올라가는 소리로구나

<줄올리는소리> (받는소리) 이야호 어허어어어 홍애로구나 (메기는소리) 이여차 소리에 줄올라가는 소리로구나

  1. 새펴기, 옥가리엮기 <옥가리올리는소리> (받는소리) 이야호 어허어어어 홍애로구나 (메기는소리) 이여차 소리에 옥가리 올는는 소리로구나 옥가리랑 지붕꼭대기에서 빨리랭 엮고 내려웁서 이옥가리는 어디건고 영실 000 내영수다

<서우젯소리> (받는소리) 아아아하아양 에에헤에헤요 (메기는소리) 이때 저때 어느땐가 천고마비 계절인데 지난 불러 제일하고 00은 불러 집을 짓자 동쪽에는 곳간 짓고 서쪽에는 마덜 짓고 남쪽에는 사랑채짓고 중앙에는 본채를 지어 자손창성 헐자릴세 부귀영화 누릴 자리 이집 진지 삼년만에 0000 0000 아들을 나면 효자를 낳고 딸을 나면 열녀로다 소를 나면 천군되고 말을 나면 영마로다 아아아하아양 에에헤에헤요 탁주 한잔을 먹었드니 어깨춤이 절로나네 먼디 사람 듣기 좋게 곁이 사람 보기 좋게 춤을 추멍 놀아줍소 흥겨웁게 놀아줍소 요런 때에 못 놀면은 어떤 때에 놀아보나 일심동력 하여보난 잠깐전이 달었수당 쏙암수다 쏙암수다 역꾼님네 쏙았수다 역꾼님네 힘을 빌어 일심동력 허여보난 옥가리 초가삼간 다 지어졌수다 폭큰 속았수다 이번소리로 모십수다

제주도의 다양한 민요를 엮은 이 작품은 옥가리초집이라는 제주도의 독특한 주거문화를 소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옥가리초집 짓는 소리는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인 금상을 수상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