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뫼북춤(2016,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대구시
분야 무용
참여단체 대구광역시날뫼북춤보존회
수상(단체상) 동상 (국립국악원장상)

종목소개

날뫼북춤은 대구 비산동 일대에서 전승되어오는 북춤이다. 비산동의 옛 이름 ‘날뫼[飛山]’는 날아온 산이라는 뜻으로, 산 모양의 구름이 날아오다 어느 여인의 비명소리에 놀라 땅에 떨어져서 동산이 되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또 다른 유래도 있는데, 옛날 지방관리가 순직했을 때 백성들이 이를 추모하기 위해하고자 봄·가을에 북을 치고 춤을 추며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 것이다. 날뫼의 원고개는 달성과 금호강 사이의 넓은 들판을 지나는 서울 나들길이었다. 옛날 고을의 원이 이 길로 부임할 때, 마을 사람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맞이하던 관습이 날뫼북춤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특히 백성의 추앙을 받던 한 목민관이 순직하자, 이곳에 무덤을 쓰고 봄가을로 제사를 올렸는데, 이때 외로운 원님의 혼을 달래기 위해 북을 울리며 춤추던 관행이 날뫼북춤으로 이어졌다고도 한다.

이 춤은 같은 지역의 비산농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하나의 독립된 춤사위로 발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름에 나오듯, 정월대보름에 비산동 일대 동제당인 ‘천왕대’에서 행하던 마을 제사 ‘천왕매기굿’의 지신풀이 ‘천왕매기’와 더불어 두드러지게 발달한 북만을 가지고 추는 ‘북춤’으로, 경상도 덧배기가락과 춤으로 구성되어 있다.

날뫼북춤은 크고 투박한 북을 메고 각 장단에 맞춰 어깨춤을 멋스럽게 추는 것이 일품으로, 다음과 같이 12개 순서로 진행된다.

  1. 길굿, 길군악 풍물꾼이 징검다리, 논두렁, 밭두렁, 산길 등을 이동할 때 치는 장단이다.

  2. 정적궁이 뛰는 듯한 걸음으로 진행하며, 군사굿의 요소가 두드러진 장단이다.

  3. 반직굿 북넘기 등 고난도의 북묘기를 연속으로 펼친다. 이 순서를 ‘마당굿’이나 ‘자반득’으로도 부른다.

  4. 엎어빼기 북넘기와 앉을상을 반복하는데, 이때 활달하고 씩씩하면서 현란한 춤사위를 펼친다.

  5. 다드래기 일명 ‘버꾸놀음’이라고도 하며, 연풍대가 빠르게 돌아가서 강렬하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6. 싸움굿, 버꾸사설마당 전쟁놀이 형태로, 백병전을 할 때와 같이 진행하고, 화합으로 마무리한다.

  7. 모듬굿 여러 악기 중 북만 치는 장단으로, 북소리의 웅장함을 느낄 수 있다.

  8. 굿거리 북소리에 흥겨운 어깨춤을 동반한다.

  9. 강강술래 북을 치면서 좌우로 돌며 바깥을 향해 옆으로 뛴다.

  10. 허허굿 추임새 "허허를 넣으며, 북잽이들이 양발을 솟구쳐 뛴다.

  11. 오방진 다섯 방위에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이다.

  12. 덧배기굿(뒷마당풀이) 북잽이들의 어깨춤으로, 일명 ‘덧배기들놀이’라고도 한다.

    날뫼북춤은 1983년 제2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첫선을 보인 이후부터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1984년에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날뫼북춤보존회에서 현재까지 전승하고 있다. 날뫼북춤은 진도북놀이, 밀양오북춤, 부산농악의 북놀이, 동래지신밟기의 북놀음 등 농악과 깊은 관련이 있거나 놀이로서 전승되는 경우와는 다른, 원님 추모와 관련한 유래가 있는 것이 독특하다. 또한 개인 북춤, 군무로 추는 북춤 등 다양하면서도 창조적인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총 12개 마당으로 전해지는데, 출연 시기에 따라 명칭, 내용, 순서 등에 차이가 있다. 물론 고유 명칭과 이칭 모두 잘 보존되어야 하지만, 소개하고 전승하는 측면에서는 일관된 체계가 필요해 보인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1984.07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