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뱃노래(1970,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민요
수상(개인상) 개인상 (김창옥)

종목소개

유래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예부터 어업에 종사해 왔으며 어부들이 고기를 잡는 작업을 하면서 많은 노래를 불러 왔다. 거문도에서 부르는 멸치잡이 노래들을 묶은 것이 거문도 뱃노래이다. 어부들은 어획기에 어장을 찾아 모여드는 관계로 여러 지역간의 교류가 빈번했으며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을 해가며 장기간 조업을 해오는 동안 그들 노래가 서로 비슷해져 지방별 특색을 찾기 어려우며 특히 일제시 일본 어부들과도 함께 일을 했기 때문에 일본이나 인근 여러 나라의 영향도 받은 것 같다. 어부들이 노래 부르는 것은 대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할 때이다. 닻을 올릴 때, 노를 저을 때, 그물을 당길 때, 고기를 풀 때, 고기가 많이 잡혀 놀이를 할 때 등이다.

특색

앞소리는 한 사람이 메기고 뒷소리는 여러 사람이 제창으로 받기 때문에 앞소리는 사설에 따라 가락이 변하면서 음악적으로는 선율적인데 비해서 뒷소리는 단지 힘을 모으기 위한 단순한 가락으로 되어 있다. 앞소리는 그 창법에 있어 남도창의 특색인 꺾는목을 잘 구사하고 있다. 연평도의 배치기, 위도의 띄뱃소리, 서산의 봉기타령 등과 그 종류를 같이하는 어업노동요이지만 이 노래는 특히 순박하면서도 힘찬 어민의 정서를 잘 나타내고 있다.

구성

(1) 술비소리 (2) 놋소리 (3) 월래소리 (4) 가래소리 (5) 썰소리

내용

(1) 술비소리_ 밧줄을 꼬면서 부른다.

(선소리) 에이야라 술비야 여기여차 술비로세 술비소리를 잘맞구보면 팔십명 기생이 소청드네 님을 맞구서 감사로세 술비야 어~ 술비여 야~아 어이야 술비여 에이야 술비야 에야디여라 술비야 놀다가소 놀다가소 소녀방에 놀다가소 놀다가면 득실인가 잠을자야 득실이지 백구야 펄펄 나지마라 널잡을 내 아니로다 성상이 바라시니 너를쫓아 여기왔다 (받는소리) 에이야라 술비야

(2) 놋소리_ 입항할 때 부르는 소리로 인근 남서해안에서 부르는 소리와 대동소이하다.

(선소리) 어야디야 어기엿차 여서를 가세 어야디야 가자가자 어서가세 어야디야 어장터로 어서가세 어야디야 어기어라 뒤~허 어기어라 뒤~허 앞산은 점점 가까와지고 어야디야 뒷산은 점점 멀어만 가네 …후략… (받는소리) 어야디야

(3) 월래소리_ 그물 당길 때 부르는 소리로 아주 씩씩하고 남성적이며 특히 남해안 지방에서 많이 불린다.

(선소리) 월래보자 이 그물을 당겨보세 이 그물 안헝크러지게 어서 당그소 헝클어지며는 어장을 못하네 뒤엣 사람은 그물을 챙기고 이물 사람들 천천히 당그소 팔을 뻗쳐 힘차게 당그소 …후략… (받는소리) 월래보자

(4) 가래소리_ 고기를 풀 때 부르는 소리로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가래소리 혹은 태질소리라고도 한다. 논에서 물을 퍼낼 때도 가래소리를 부르고 있어 물푸는 소리나 고기푸는 소리는 선율이 같다.

(후렴) 어랑성 가래야 어랑성 가래야 (선소리) 여기도 퍼실코 저기도 퍼실코 이 가래가 뉘가랜고 이 가래가 우리 가래로세 우리 뱃사람들 잘도나 허네 …후략… (받는소리) 어랑성 가래야 어랑성 가래야

(5) 썰소리_ 만선이 되어 들어오면서 부르는 소리로 그 명칭도 지방에 따라 배치기, 봉죽타령, 봉기타령 등으로 불려진다. 거문도의 것이 순수한 멋을 풍기고 있다.

(선소리) 어허 어기어~ 우리 쥔네 마누라 궁둥이질 친다 에~이 멸치 잡어 보리풀고 쌀 팔아 자식들 먹고 헤~어허 어기어 어허~허 어기어 다 들어오네 에~돌아온다 봉기시다 에~군창마저 소리맞소 헤~어허 어기어 이영차 이영차 어여 뒤여차 만선이다 만선이다 만선이 되었고나 이웃집 마누라도 궁둥이 춤이오 쥔네 마누라 궁둥이 춤춘다 이영차 이영차 (받는소리) 어허~허 이기어(9소절까지) 이영차(9소절 다음부터)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거문도뱃노래 (1972.01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