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농요(1971,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민요
수상(개인상) 개인상 (박갑근)

종목소개

익산농요는 마한의 고도이며, 백제문화의 제2발상지로 알려진 전북 익산지방의 농사꾼들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 지방에는 삼국시대에 맛동요를 전했다고 하는 맛동(백제무왕)이 생장한 곳으로, 일찍부터 이 고장의 백성들이 생활과 정서를 구가하는 여러 가지 민요들이 전승되어 왔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 실전된 것이 많고, 현재까지 전승되면서 비교적 널리 보존되고 있는 민요 중에 가장 특색 있는 것으로는 농군들이 벼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농요들이 있다. 이것은 비교적 평야지에 속하는 이 지방에 벼농사를 숭상하면서 ‘품앗이’, ‘두레’ 등 집단적인 공동작업으로 농역을 하는 가운데에 피로를 풀고 농군의 흥취를 돋으며 농경생활의 정서를 옲조리는 노래로서 발달된 듯하다. 이 지방에는 모심기부터 김매기, 만두레, 벼베기, 등짐, 타작, 방아찧기 등 모든 농역행위에 따르는 노래가 갖추어 있다. 이 가운데에 ‘긴방아타령’, ‘자진방아타령’, ‘산야’ 등이 이 지방에서 특히 성행되는 농요이다. ‘긴방아타령’이나 ‘자진방아타령’은 실상 방아 찧을 때 부르는 노래가 아니라 김을 매는데 부르는 노래로서 그 곡조가 특이하다. ‘산야’는 만두레(손으로 마지막 훔치는 작업)할 때와 벼를 벨 때 부르는 것의 2종이 있는데, 두 가지 다 작업하는 동작의 완급에 따라 가곡의 차이가 있다. 만두레에 부르는 것은 희소곡으로 있긴 하지만 음률이 아주 완만하고 애상적인 것이 많다. ‘산야’를 부르면 산천초목이 떤다고 하면서 음력 7월 이전에는 부르지 않는 것이 일종의 믿음같이 되어 있는 것도 특색이다. ‘등짐 노래’와 ‘타작노래’, ‘방아찧기 노래’는 어느 지방에나 있는 것이라고 하겠지만 그러나 이 지방에서 벼등짐, 벼타작에 알맞게 불리는 특성이 있다. 특히 타작노래는 나락을 개상질로 타작하면서 부르는 음률과 타작하는 동작이 율동의 조화를 이루며, 방아찧기 노래도 큰 절구통 하나에 4~5명이 들어서 메갱이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래가 메소리와 리듬의 조화를 이루고 동작이 흥겹게 보기 좋은 것이 특색이다. 이상에서 말한 익산 농요라 해도 그 가곡이 약간씩 다른 것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연출되는 농요는 현재까지 이것을 보존, 실제 농역에서 부르고 있는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의 순수한 농군을 중심으로 금마․황산․함열 지방에 전해지는 것이다.

가사

(1) 김매기노래 ① 긴방아 타령 에헤야-아아아-흥어-어어히-힛…… {앞소리(후렴)} 헤-헤헤야-응히-아웅-어히-어허허 에헤헤-에르라 (받는소리)-{앞소리(후렴)을 그대로 화창함} 태고라 천황씨는 천하지본 농사로다…… (앞소리) (받는소리)-{앞소리(후렴)을 그대로 화창함} 저건너 갈매봉 비묻어 들어온다 우장을 두르고 삿갓을 쓰네 (받는소리)-{앞소리(후렴)을 그대로 화창함}

② 자진방아 타령 앞소리 : 아아아 아아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에에에 헤에 받는소리 : 에에에 헤에 앞소리 : 어허 비가 오네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어데를 갔다 인제오나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옥중 춘향이 임만난듯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칠년대한에 단비로다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벳잎이 펄펄 영화로다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어찌 아니 반길손가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비를 맞아도 나는 좋고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앞소리 : 밥 아니 먹어도 배가 불러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받는소리 : 아아아 아아 합창으로 : 얼시구 절시구 지와자 좋네 얼시구 절씨구

(2) 만두레 노래 <만두레 때 부르는 산야> 영감아 영감아 아아- … 앞소리 무정한 영감아 아- 육칠월 단물에 메뚜기 뒷다리에 채여 죽은 영감아 부귀다남 백년동락 하잣더니 나홀로 두고 어데로 갔나 오호-오오-오호-응하고 … 받는소리 영감아 영감아 아아- … 앞소리 어데로 갔나 영감아 아- 지리산 가마귀 기빨물어다 놓듯이 날데려다 놓고 쓸쓸한 빈방안에 독수공방 어이사르라고 나홀로 두고 어데로 갔나 오호-오오-오호-응하고 … 받는소리 여보게 마누라 여보소 마누라 … 앞소리 아아- 무정한 마누라 아- 작년 팔월 추석에 송편 먹다 체해 죽은 마누라 우리가 영남에서 건너올 때는 백년동안 살잣더니 나 홀로 두고 어데로 갔나 마누라 오호-오오-오호-응하고 … 받는소리 여보게 마누라 여보소 마누라 아아- … 앞소리 어디를 갔는가 마누라 아아- 일년은 삼백육십일 하루만 못봐도 못사는 마누라 북망산천 어데라고 정은 두고 몸만 가니 정은 마저 가저가소 어데로 갔나 마누라 오호-오오-오호-응하고 … 받는소리

(3) 나락베기 노래 (앞소리)검었구나 검었구나 남산모퉁이 청치마자리 검었구나 (후 렴)헤헤헤헤이-옛 뚜루미야 (앞소리)잘되었구나 잘 되었구나 이논 농사가 잘 되었구나 (후 렴)헤헤헤헤이-옛 뚜루미야 (앞소리)잘도 비네 잘도 비네 상산땅 조자롱이 흔칼쓰듯 잘도 비네 (후 렴)헤헤헤헤이-옛 뚜루미야 (앞소리)막걸어 당겨라 막씨러 잡어라 삼사십이 열두폭이씩 막걸어 당겨라 (후 렴)헤헤헤헤이-옛 뚜루미야 (앞소리)일락서산에 월촌동영에 달솟아 오르니 우리님 문밖에서 기다리신다 (후 렴)헤헤헤헤이-옛 뚜루미야

(4) 등짐 노래 (앞 소 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받는소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앞 소 리) (후렴) (앞 소 리) 바늘같은 허리에다 태산같은 짐을지고 (앞 소 리) 이 고개를 어이 넘으리 (받는소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앞 소 리) 일락서산 해는지고 월출동영 달 솟아 오르는구나 (받는소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앞 소 리) 여보소-주인임아 닭잡고 술을 내어 지친농군 대접하소 (받는소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앞 소 리) 안인심이 조아야 배양반 출입이 넓다더라 (받는소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앞 소 리) 여보소 농부님네 닭잡고 술동이가 나왔네 (앞 소 리) 이제는 들어갑시다 (받는소리) 어허허어-어허 어어-헤 얼라차

(5) 개상질 노래 (앞 소 리) 왓나 (받는소리) 어어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잘도친다 타작이야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하지절에 모를 심어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삼복절에 김을 매어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칠팔월에 여문곡식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구시월에 거두었네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이 나락을 타작해서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앞 소 리) 에야아-행- (받는소리) 에야아-행- (앞 소 리) 삼동 삼춘 양식하세 (받는소리) 에야아-행- (전원합동) 어-허허해-에-헤 이히나헤

(6) 방아찧기 노래 (멕임소리) (받는소리)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이방아가 웬방아냐아헤-방아헤- 강태공의 조작인가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기산영수 별긴곤세아헤-방아헤- 효자효부 놀아있고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보은속리 문장대에아헤-방아헤- 세조대왕 놀아 있고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우리들은 놀데 없어아헤-방아헤- 이 방아로 놀아보자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쿵닥쿵쿵 듣기 좋고아헤-방아헤- 보기좋게 놀아보세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천왕씨는 목덕으로 왕하시고아헤-방아헤- 지황씨는 도덕으로 왕하시고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수인씨는 화덕으로 왕하시니아헤-방아헤- 우리들을 방아로 왕을하자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이 방아를 찧어다가아헤-방아헤- 나랏님께 봉사하고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한참에 열두도구아헤-방아헤- 백옥같이 찧어내자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일락서산 해떨어진다아헤-방아헤- 부즈런히 찧어내자아헤-방아헤- 아헤-방아헤-아헤-방아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익산목발노래 (1973.06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