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삼계농요(1976,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민요

종목소개

삼계면 두월리 지방은 기름진 농토와 아름다운 산수가 조화를 이루어 예로부터 인심이 순후하고 평화스러운 고장이다. 씨앗을 뿌리는 봄부터 풍성한 수확을 거두는 가을까지 이웃끼리 서로 품앗이 일을 하며 불러오던 이 농요는 조선시대부터 수백년 동안 구전되어 내려온 것이다. 말천방농요라고도 불리우는 이 농요는 가뭄이 들었을 때 농민들이 보막이를 해 놓고 이른 새벽부터 물을 품으면서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래, 김맬 때 흥을 돋우는 노래, 하루 일을 마치고 가벼운 마음으로 집에 돌아갈 때 어울려 부르는 노래 등이 있다. 노래의 리듬과 곡조가 매우 듣기 좋고 경쾌할 뿐만 아니라 고된 작업을 하면서도 더욱 힘을 내어 부를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볼 때 보다 높은 차원의 농요임을 엿볼 수 있다. 농요는 대개 한 사람의 선소리에 여러 사람이 받아 부르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 지방의 농요는 앞뒤 두 패로 나누어 부른다. 이것은 두 패로 나눔으로써 노래소리의 크고 작음을 시새우며 작업능률을 높이는 것으로 삼계농요의 특징이다.

내용

삼계농요는 농사의 절기에 따라서 부르는 (1) 물품기노래, (2) 연계타령, (3) 문열가, (4) 방아타령, (5) 어휘싸우, (6) 산타령의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시기에 따라서 부르는 노래와 가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물품기노래 아위- 아위 하택에 물올리고 상택에 물받아라 아-위 물올리고 물받아라 아-위 맥이 터진다 아-위 자진머리로 들어간다 아-위 도깨비 방죽에 물품어다 배동바지 목축이자 아-위 배동바지 목축이자 아-위

(2) 연계타령 저산넘에 소첩두고 밤길걷기 난감하다 오란데는 밤에가고 동네술집 낮에가자 일락서산에 해떨어지고 월출동명에 달솟아온다 황계물로 가는 처자 속옷가래 풀고간다 (후렴) 에헤야노 아하헤헤 연계로구나

(3) 문열가 오늘도 하심심하여 노래한장 불러보세 건곤이 불노월 장자하니 적막강산이 근 백년이라 적막강산이 근 백년이라 칠산골산 깊은 봉에 홀로 우는 가련추야 오동추야 달을 밝고 임의 생각이 절로 난다 (후렴)지구허-허허-이 허허-아헤-말이오

(4) 방아타령 남문열고 바래칠제 계명산천 밝아온다 베 잘짠다 베 잘 짠다 남원 동문안 큰애기 베 잘짠다 활 잘 쏜다 활 잘 쏜다 북도 매봉의 군사가 활 잘 쏜다 배꽃일레 배꽃일레 처자 손목에 배꽃일레 (후렴)에헤 얼싸 좋다 쿵자쿵 기화자 좋을시구

(5) 어휘싸우 앞둑 벼루는 뒷 둑을 쌓고 어휘싸오 뒷둣 벼루는 앞 둑을 쌓고 어휘싸오 휘휘 둘러서 쌈들을 싸세 어휘싸오 임실 원님은 해우쌈 싸고 어휘싸오 남원 원님은 천엽쌈 싸고 어휘싸오 장수 원님은 곤달로 싸고 어휘싸오 진안 원님은 상추쌈 싸고 어휘싸오 순창 과부는 이불쌈 싸고 어휘싸오 이논 뱀이에 노적쌈 싸고 어휘싸오 우리 농부는 풍년쌈 싸고 어휘싸오 바짝 바짝 우겨를 싸소 어휘싸오 외영 가닥을 이겨를 주소 어휘싸오 장구지 달팽이 다 잡아들이라 어휘싸오 에이- 위-

(6) 산타령 ①금방 오라 헤헤헤한 몰람에 쏙소리 나무가 섯으되바람에 부나 아니를 부나 ②너그 누가 헤헤헤날마다 머리를 깎고 속락을 쓰고순천 송광절마다고 금지금실산절로 중이 나난질 가네 ③오 초목에 헤헤헤들이나 남풍 이거나 동풍 울어든새야 울어니 스면 너나 울었지울어니 스면 너나 울었지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