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구상작농악(1987,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공로상

종목소개

전라북도의 옥구상작농악은 1987년 제2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옥구상작농악은 전라북도 옥구군 성산면 창오리 상작마을에 전승되는 농악이다. 상작마을은 옥구지방 중에서도 특히 부촌으로 유명하며 인심이 순후하고 농악이 매우 성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옥구지방은 고려시대부터 십이 조창의 하나인 진성창이 있었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수군의 주둔지였는데 이러한 점이 이 지방의 농악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옥구상작농악의 특색으로는 부부, 부자, 며느리 등이 모두 동원된 혼성팀 구성이라는 점, 잡색 가운데 말이 두 필 등장하여 말놀이를 하는 것, 호남우도 농악에 속하며 가락이 구성지고 장구가락이 풍요롭다는 점, 복색이 호화로운 점을 들 수 있다.

내용

구성은 낸드름질굿-삼채굿-오방진굿-허허굿(호호굿)-미지기굿-구정놀이-인사굿으로 이루어져 있다.

(1) 낸드름질굿_ 쇠, 징, 장고만으로는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다가 원 밖을 보고 굿을 시작하겠다는 인사를 한다. 일반적인 호남 우도 농악이 우질(길)굿, 좌질굿 등을 거쳐 나가는데 반해, 간단하게 이 굿으로 인사를 한다. 즉 인사굿이라고 하겠다. (2) 삼채굿_ 느린삼채로 시작하여 자진삼채까지의 삼채가 벌어진다. (3) 오방진굿_ 오방이란 동서남북과 중앙의 다섯 방위를 가리키는 말인데, 상쇠가 여러 잽이들을 데리고 오방진가락을 쌓는 것이다. 오방진은 멍석말이 등의 별칭으로도 불리는데, 일렬 종대로 서서 나사 모양으로 돌아들어 진을 피고 다시 나사 모양으로 풀어 나오며 오방에 진을 치는 것을 말한다. 진의 모양이 다채롭고 멍석(덕석)말이의 풍습을 농악의 진법에 응용한 독특하고 재미있는 놀이이다. (4) 허허굿_ ‘호호’하는 상쇠의 구호에 따라 여러 잽이들이 ‘허허’하며 응대하는 가락을 치기 때문에 허허굿이라고 부른다. ‘깨갱’하고 한 박자를 치고 ‘허허’하고 구호를 부르는 식으로 쇠가락이 쉬는 사이에 구호를 부른다. 이러한 형식이 2회가 반복되면, 전원이 자진 호호가락을 치면서 원의 중심을 보고 서서 오른쪽으로 2회 옆걸음하고, 왼쪽으로 2회 다시 옆걸음을 한 후에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을 2회 반복한다. 일반적인 호남 우도농악에서는 상쇠가 자진 호호가락을 치면 농악대 전원이 원의 중심을 향하여 서서 몇걸음 들어가 일제히 3번 앉았다가 일어나고 뒤를 향해서 3번 앉았다 일어난 다음 왼쪽으로 두 발 옆걸음을 치고 오른쪽으로 두 발 옆걸음을 친다. ‘허허굿’은 다른 지방의 ‘호호굿’과 같은 의미의 용어이다. (5) 미지기굿_ 미지기란 밀고 지고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농악대 전원이 삼채굿을 치면서 옆걸음으로 뛰어 이열횡대가 된다. 앞으로 전진하다가 뒤로 돌아 전진하는 진법의 행진무용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6) 구정놀이(개인놀이)_ 쇠꾼들의 상모놀이(외상모, 양상모, 사자, 산치기, 양산치기, 배밀어내기, 돗대치기, 좌우치기, 복판치기, 전조시, 연봉놀이), 장고놀이(미지기굿, 제자리뛰기, 바꿈질굿, 삼진삼퇴, 옆걸음치기, 제자리 뒤로 회전), 법고놀이(물푸기, 사모잽이, 제기법고, 좌우치기, 벌려겹치기, 사채, 사사, 지계북, 앉은상, 연풍대, 나비상, 차고앉는상, 자반뛰기) 등이 연행된다. (7) 인사굿_ 전원이 시계바늘 돌아가는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다가 원의 바깥을 향해 서로 쇠에 맞추어 절을 하고 나서 삼채를 치면서 퇴장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