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동요와 남한강뱃소리(2014,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북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단양소리보존회
수상(단체상) 은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

종목소개

단양에서 전승하는 전래동요와 남한강 뱃소리를 엮은 작품이다. 단양에서는 농경사회의 일상을 풍자한 민요와, 아동이 보는 사회적 시각에서 파생한 전래동요를 구전해 현재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데, 성재소리, 진뜨기타령, 실구대타령 등이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남한강은 강원도에서 단양과 충주를 지나 서울로 통하는 교통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뱃길 문화가 발달했는데, 이에 따라 띠뱃노래(소금배소리)와 짐을 싣고 한양으로 내려가면서 부르는 짐배노래가 함께 전해져오고 있다.

  1. 입장 <자장가> 아강아강 우지마라 늑어머니 진조밥이 싹이 나면 온다더라 아강아강 우지마라 우리 어머이 진조밥이 싹이 나도 안오시네 아강아강 우지마라 늑어머니 삶은 팥이 싹이 나면 온다더라 아강아강 우지마라 우리 어머이 삶은 팥이 싹이 나도 안오시네 아강아강 우지마라 그림 한 계 회를 치면 온다드라 아강아강 우지마라 우리 어머이 그림 한 계 회를 쳐도 안오시네

  2. 동요 및 놀이 시연 <성재소리> 열어주게 열어주게 동대문을 열어주게 엄동설한 모진바람 손이시려 못열겠네 손이시려 못열거든 장갑줄게 열어주게 못열겠네 못열겠네 장갑줘도 못열겠네 열어주게 열어주게 남대문을 열어주게 동지섣달 설한풍에 발이 시려 못열겠네 발이 시려 못열거든 버선줄게 열어주게 못열겠네 못열겠네 버선줘도 못열겠네 열어주게 열어주게 서대문을 열어주게 북풍한설 찬바람에 귀가 시려 못열겠네 귀가시려 못열거든 남바위줄게 열어주게 못열겠네 못열겠네 남바위줘도 못열겠네

<송아지따기> 송아지 따세 송아지 따세 집에 소는 무슨 소 우리 소는 검은 소 저기 저기는 우리 소 저기저기 저기가 우리 소라네 아니오 우리 소요 우리 소는 점박이소 우리 개도 점박이소 송아지따세 송아지따세 집에 소는 무슨 소 우리 소는 검은 소 저기 저기는 우리 소 저기저기 저기가 우리 소라네 아니오 우리 소요 우리 소는 점박이소 우리 개도 점박이소

<실구대소리> 꼬꾸대 꼬꾸대 꼬꾸대 틀이 늦어가네 절이세 절이세 갈쿠야 비척 절이세 유리야 장판 절이세 실구대 실구대 틀이 늦어가네

  1. 뱃소리 올라왔소 소금배가 도담산봉 양반들아 금년에도 철석철석 소금배가 당도했네 기다리던 양반손님 어서 나와 반기시오 어서어서 불어주게 동남풍아 불어주게 양월양천 올라가네 도담산봉 접어든다 술걸러서 가져오게 목이 말라 못가겠네 술이술렁 내려올 때 다시 한번 놀다가세

  2. 이별의 노래 못믿을건 한양손님 밧줄하나 풀러노니 부지거처 떠나가네 인제가면 언제오나 기약없이 떠나가네 잘가시오 한양손님 머나먼길 이별일세 잘있거라 주모들아 변치말고 잘있으면 명년삼월 돌아와서 다시한번 만나보세 어이가나 한양뱃길 비틀비틀 소금배야 설어워서 못가겠네

    한국민속예술축제에는 전래동요가 좀처럼 나오지 않았는데, 단양에서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를 통해 뱃소리를 엮은 작품으로 출전했다. 특히 전래동요는 아이들이 직접 부르면서 맛을 살렸다. 전래동요와 남한강 뱃소리는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상인 은상을 수상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