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농악(2016청소년,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광주시
분야 농악
참여단체 대촌중학교
수상(단체상) 동상 (국립무형유산원장상)

종목소개

‘광산농악’이 전승되는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영산강 상류인 황룡강과 극락강을 끼고 있는 넓고 비옥한 서석평야가 펼쳐져 있어서, 예로부터 농업을 생계수단으로 하는 전통적인 농업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은 지역이다. 광산농악은 예로부터 마륵동의 판굿농악을 중심으로 칠석동의 ‘고싸움놀이’, 소촌동의 ‘당산농악’, 신월동의 ‘풍장농악’, 옥동(평동)과 유계동(동곡)의 ‘걸립농악’ 등 광산구 지역에서 연주되는 다양한 농악을 집대성한 것이다. 이렇게 광산 지역에서는 농악이 끊이지 않고 이어져 왔다.

광산농악은 채상고깔을 쓰고, 복장이 화려하다. 느리고 빠른 가락을 다양하게 연주하며, 잡색의 구성이 조직적이고 다채롭다. 문굿, 당산굿, 샘굿, 철용굿에 이어 집집이 방문해 연주하는 마당밟기, 마당굿, 풀이, 액맥이, 중천맥이, 부엌굿(정제굿), 철용굿(장독대굿, 장꽝굿)까지 전 과정을 연주하고, 저녁에는 판굿을 하는 전통적인 호남우도농악을 그대로 보여준다. 인원은 꽹과리 4~6명, 장고 6~8명, 징 3~4명, 작은북 20~25명 등의 앞치배와, 대포수, 양반, 할미, 조리중, 각시, 참봉, 남무동, 여무동 등의 잡색인 뒤시배로 편성한다.

대촌중학교는 2002년 농악반 신설 이래 지금까지 왕성하게 광산농악 전승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서 대촌중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광산농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질굿마당 내드름굿 일·이·삼채가락을 마친 후 일채로 입장해, 오채질굿, 된 오채질굿, 갖은일채, 벙어리삼채, 벙어리일채, 삼채, 매도지를 친다.

  2. 오방진마당 오방진의 오방은 방향을 나타내는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에 진을 치는 것을 형상화해 덕석몰기로 진을 쌓아 연주한다.

  3. 호허굿마당 열두마치(12채), 호허굿, 자진호허굿을 치며, 좌·우·진·퇴(좌우치기, 연봉치기)를 한 뒤 지심매기, 지신밟기, 콩등지기, 용틀임을 한다.

  4. 구정놀음 치배들의 개인 기량을 한껏 보여주는 마무리 마당이다. 소고놀이, 북놀이, 쇠놀이, 설장구놀이, 열두발상모, 잡색놀이를 한다.

    대촌중학교 광산농악팀은 지속해서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 참가해 좋은 결과를 보이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10년 이상 광산농악을 이어오면서 지역 농악 전승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학생들이 지역 전통문화의 뿌리를 찾고 그 명맥을 이어가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 하겠다.

문화재 지정 현황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광산농악 (1992.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