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두레농요(2018,경기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9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5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기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화성두레농악보존회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화성두레농요’는 화성 지역의 논농사소리를 엮은 작품이다. 화성은 조선조 이래 국토확장사업으로 인한 간척농지 확대가 계속되었고, 이에 벼농사를 주축으로 하는 농업이 생활의 바탕이었다. 농업 노동에 있어 두레가 서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이었고, 이에 따라 일과 휴식 간에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 것이 바로 농요다.

화성두레농요는 주로 ‘모내기소리’와 초벌의 ‘상사디소리’, 재벌의 ‘얼카덩어리’, 세벌의 <에키나 방아> 등의 ‘논맴소리’, 지게놀이에 쓰인 ‘상여소리’ 등을 포함한다.

  1. 입장

  2. 모심기 <모심는소리> (받는소리) 여기두 하나 저기 또 하나 (메기는소리) 여기두 하나 저기 또 하나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말을 들어보소 이 논배미에 모를 내세 우리 논물 퍼다가 모를 내세 이 논배미를 어서다 심고 넓적배미로다 넘어가세 여기다 저기다 매드래도 사방줄 맞게만 꽂아주오 오가다 가다가 꼽드래도 삼배출 자리에만 꼽아주오 이 논배미를 어서 다 매고 장구배미로다 넘어가세 여기두 하나 저기 또 하나

  3. 새참먹기

  4. 초벌(아시매기) <상사디소리> (받는소리) 헐 럴럴 상사데야 (메기는소리) 헐 럴럴 상사데야 여보시오 농부님네들 사이사이에다 호미를 넣어 마치같이도 팍엎어보세 이 논배미를 다하고 나면 장구배미로 넘어를 간다 장구배미를 다매고 나면 최진사님이 건너를 온다 최진사님에 뒤쪽에는 머리 큰 놈이 늘어서 오고 머리 큰 놈에 앞 줄에는 종새기들이 들어서 오네 훨럴럴 상사데야

  5. 기우제 부인들이 우물에 모여 물을 퍼 올리고 적시며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과정이다.

  6. 두벌(재벌매기) <얼카덩어리> (받는소리) 얼카덩어리 (메기는소리) 얼카덩어리 여보시오들
    농부님네들 사이사이에다
    호미를 넣어서 팍엎어 보세나 빙빙돌면서 팍 엎어 보세나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7. 지게놀이 ‘상여소리’에 맞춰 지게를 이용해 상여놀이를 하는 과정이다.

<상여소리> (받는소리) 호호 호오 어거리 넘차 호오오 (메기는소리) 호호 호오 어거리 넘차 호오화 간다간다 나는 간다 북망산으로다 나는 간다 이 세상에 나 태어날 적에 빈손으로다 태어났다 마지막 이 세상을 하직할 적에 빈 손으로다 가는구려 호호 호오 어거리 넘차 호오화

  1. 논두렁 밟기 논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논두렁을 밟는 과정이다.

  2. 세벌(만물매기) <에키나 방아소리> (받는소리) 헹 헤어호 헤어어호 헤에 이여라 치나 에키나 방아로고
    (메기는소리) 헹 헤어호 헤어어호 헤에 이여라 치나 에키나 방아로고
    (메기는소리) 헤에에이에 시아버지 죽었다고 좋다고나 하더니 나뭇간을 들여다보니 생각이 난다 호오오오호오 (받는소리) 헹 헤어호 헤어어호 헤에 이여라 치나 칭이나 방아로고

  3. 멍석말이 모든 농사를 마치고 풍농을 축원하는 과정이다.

  4. 퇴장

    화성두레소리가 한국민속예술축제 첫 출전 작품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경기 남부지역에서 널리 불리는 얼카덩어리소리, 상사디소리와 함께 사당패소리 계열의 방아타령이 어우러져 나타나고 있다. 제59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인 금상을 수상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