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골마당밟이(2018,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9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5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보성군율어면밤골농악단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율어 밤골농악은 호남좌도농악에 속하며, 주변 농악의 영향을 받기는 했으나, 높은 산과 강으로 격리된 지형으로 인한 고립성으로 향토색이 짙게 담겨있다, 율어 지역은 깊은 산중에 넓은 평야가 있어 자립 문화를 형성한 지역으로, ‘곰북현’이란 소읍성이 있어, 성을 지키기 위한 군사훈련을 하면서 농악을 쳤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제의식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고립된 지역으로서 다른 지역 못지않게 독특한 농악이 성행했다. 율어 밤골농악은 정월달과 백중에 두레놀이를 하면서 많이 쳤는데, 특히 정월대보름날 열두 당산제를 지낸 후 마당밟이와 판굿을 한 달 정도 쳤다. 마당밟이는 당산제를 지낸 다음 날부터 집집이 다니면서 고사소리와 덕담으로 집안의 무사 안녕을 비는 굿으로, 성대하게 진행된다.

밤골농악은 농기, 마을기, 영기, 쇠, 농부, 징, 장구, 큰북, 벅구, 대포수, 조리중, 양반, 각시 등으로 구성된다. 농악대 쇠잽이의 복색은 다른 지역과 달리 검은색 바탕에 삼색이 등에 달린 쾌자를 입으며, 머리에는 부들 상모를 쓰고 종이나 깃털을 다는 특징이 있다. 그 외 치배들인 징, 장구, 북, 벅구의 복장의 겨우, 예전에는 흰색 바지저고리에 삼색을 둘렀다고 하는데, 지금은 청색 조끼를 입고 삼색을 두르며, 머리에는 고깔을 쓴다.

밤골농악의 마당밟이는 가장 먼저 길굿을 치고, 골목으로 가서 대문 앞에서 문굿을 친다. 이때 치는 문굿은 동문 앞에서 쳤던 문굿과는 다르며, 간단한 사설과 함께 친다. 그다음 마당으로 들어가 마당을 한 바퀴 돈 후 부엌으로 가서 좋은 사설과 덕담을 하면서 조왕굿을 신명 나게 친다, 그다음으로 성주굿을 치고, 샘굿, 장꼬방굿, 노적굿을 차례로 친 후 간략하게 마당에서 판굿을 치며, 술과 음식이 나오면 먹고 쉬었다가 개인놀음을 하기도 한다.

밤골농악의 진행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문굿 굿머리 가락으로 길굿을 치며, 대문 앞으로 이동한 후 문 앞에 두 줄로 서서 “문여소 문여소 / 쥔쥔 문여소”라고 소리를 내면서 문굿을 친 후, 집주인이 문을 열어주면 농악대가 다 같이 집 안으로 들어간다.

  2. 마당굿 농악대가 집주인의 허락을 얻어 마당으로 입장한 다음, 인사굿과 마당굿을 차례로 진행한다. 농악대는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안가태평과 명복을 기원하는 소리를 부르는데, 이 과정은 샘굿, 정제굿, 성주굿, 액맥이, 장독굿, 노적굿 순으로 진행한다.

  3. 판굿 마당밟이로 집안 곳곳을 모두 돌고, 모든 농악대가 마당으로 다시 돌아와서 놀이판을 펼치는 과정이다. 모든 치배가 채굿과 버꾸놀이를 하며 한판 논다.

    율어 밤골농악은 좌도농악의 강한 가락과 진법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증언자인 박동균에 따르면, 1970년대까지 낙안과 인근 지역의 뜬쇠였던 한골 서점암 상쇠에 의해 그 전통적인 가락의 맥이 꽃을 피웠다고 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중요한 문화 자산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그 명맥이 오랫동안 끊긴 상태에서 이를 복원하고자 한 노력과 함께 현재의 모습으로 정리한 것은 특별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히 대법구와 소법구로 나뉘는 전통적인 지역색을 잘 살려낸 것은 주목할만하다. 이러한 밤골농악의 진법과 가락의 지역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복원해 독자성을 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