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퇴촌농악(2018청소년,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9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5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진영여자중학교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수상(개인상) 지도상 (황일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종목소개

‘창원퇴촌농악’은 경상남도 창원의 퇴촌리 주민들이 매년 당산제를 지내면서, 당산신을 즐겁게 하고, 지역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벌인 굿판에서 유래했으며, 퇴촌동(현 사림동)의 '창원의 집 앞' 느티나무에 얽힌 전설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이 전설이 깃든 느티나무(수령 360여 년)는 이 마을의 당산목으로 숭앙받기도 했다. 이 느티나무가 있는 퇴촌마을에서는 순흥 안씨가문이 해마다 정초마다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풍물굿을 해온 것으로 전한다.

창원퇴촌농악은 퇴촌마을 고로 및 주민들이 당산굿에 농악을 치면서 유지해온 것을 마을의 안도호(구 상쇠), 안일영, 안교용, 안재호, 안용곤 등이 증언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1991년 창원퇴촌농악보존회를 창립해 마을의 특성을 지키고 있다.

제25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 참가한 김해 진영여자중학교는 방과후학교와 재능기부를 통해 농악을 전수하고 있는 풍물단 ‘진여소리’를 운영 중이며, 조상의 숨결이 깃든 전통을 지키기 위해 창원퇴촌농악을 비롯한 다양한 전통민속놀이를 학습하고 있다.

진영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창원 퇴촌농악의 전 과정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1. 들당산굿 시작 전에 마을 당산나무에 제를 올리며, 전 치배는 상쇠의 신호에 영산다드래기를 연주한다.

  2. 질굿 전 치배는 상쇠의 신호에 맞춰 덧뵈기 장단을 연주하며 마당으로 입장한다.

  3. 사방선고굿 전 치배는 상쇠의 인사 신호에 따라 사방의 신에게 인사한다.

  4. 진몰이굿 전 치배는 상쇠의 영산다드래기 장단 신호에 맞춰 진몰이를 한다.

  5. 쟁끼놀음굿 전 치배는 상쇠의 살풀이장단에 맞춰 자유롭게 연주하며, 소고들은 멋지게 어깨춤을 춘다.

  6. 돌림굿 전 치배는 덧뵈기 장단에 맞춰 원을 돌다가, 상쇠의 신호에 맞춰 각 치배가 제각기 연풍대 돌기를 세 번 반복한다.

  7. 협동굿 협동심의 가치를 보여주는 굿이다.

  8. 사방굿 전 치배는 상쇠의 신호에 맞춰 사방으로 나뉘어 악기별로 원을 만든다.

  9. 팔방굿 상쇠는 사방에 흩어진 치배들을 데리러 다니면서 덧뵈기 장단을 연주하며 진몰이를 한다.

  10. 호호굿 상쇠의 신호에 따라 큰소리로 “호호” 하며 외치기 시작하면 상쇠가 뛰기 시작하고, 이후 치배들도 뛴다. 또다시 상쇠의 신호로 치배들은 역방향으로 돌면서 두 사람씩 짝을 이뤄 뛴다,

  11. 팔방굿 상쇠는 사방에 흩어진 치배들을 데리러 다니면서 덧뵈기 장단을 연주하며 진몰이를 한다.

  12. 축원굿 상쇠가 장구를 불러내 흥을 고조하며, 악기별로 개인기를 뽐낸다. 여기서는 상모들이 여러 농사짓기 장면을 상모로 표현한다.

  13. 날당산굿 전 치배는 상쇠의 덧뵈기 장단에 맞춰 원을 돌기 시작한다.

  14. 사방인사굿 상쇠의 덧뵈기 장단이 끝나면 치배들은 제자리에 섰다가, 상쇠의 영산다드래기 신호에 맞춰 진몰이를 시작한다. 영산다드래기 연주가 끝나면 치배들은 사방의 신에게 인사를 하며 마무리한다.

    진영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창원퇴촌농악은 창원 퇴촌마을에서 전승하고 있는 농악을 바탕으로 구성한 작품으로, 소탈하고 순수하게 화평[和平]하고 화동[和同]하는 농악 본래의 모습을 잘 보여줬다. 인근 지역 학생들이 동일 권역 내의 농악을 전승함으로써 지역문화를 이어나가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