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금뜀뛰기강강술래(2019청소년,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비금중학교
수상(단체상) 은상 (문화재청장상)
수상(개인상) 지도상 (김해강, 문화체육관광부장관표창)

종목소개

강강술래는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지정은 물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되어온 노래, 무용,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의 놀이다. 주로 추석날 밤에 행하는데,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하기도 한다.

비금뜀뛰기강강술래는 전라남도 목포 인근의 비금도에서 전승되는데, 일반적인 강강술래와는 조금 다른 형태를 보인다. 일반적인 강강술래가 보통 부녀자들만이 참여하는 놀이라면, 비금뜀뛰기강강술래는 젊은 남녀가 함께 어울리며 연행한다.

비금뜀뛰기강강술래는 1960년대 이후 전승이 단절되었으나, 2000년대 초반에 재현된 후 현재까지 연행되고 있다.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는 총 열세 개 주요 장면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네 개 조로 나뉜 술래와 기수가 입장하는 ‘입장’과 느린 박자의 소리와 장단에 맞춰 강강술래를 시작하는 ‘중강강술래’가 펼쳐진다. 점점 장단이 고조되면 ‘자진강강술래’로 접어들며, 이때 노래에 맞춰서 제자리에서 뜀을 뛰며 신명 나게 논다.

‘남생이타령’으로 들어서면 술래 중 조장이 원 안에 들어가 남녀가 어우러져 논다. 그다음으로 이어지는 ‘개고리타령’은 개고리타령에 맞춰 술래들이 팔을 걷고 미나리 방죽을 더듬는 장면이다. 뒤이어 조별로 원을 그리고, 토끼뜀을 하며 ‘고사리껑끼’를 행한 다음, 조장 하나가 수건을 손에 쥐고 조장을 따라가며 그 뒤를 이어 큰 원을 그린다. 원을 완성했다 풀기를 반복하는 ‘덕석몰기·덕석풀기’를 한다. 이어서 청어를 엮고 푸는 동작을 하는 ‘청여영기·청어풀기’를 행한다. 이후 ‘뜀뛰기’, ‘마장뛰기’, ‘문열어주소·꼬리잡기’로 장면을 잇고, 다시 ‘뜀뛰기’를 행한다. 뜀뛰기에서는 관객들과 함께 원을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 기수를 중심으로 원을 크게 만든 다음, 뜀뛰기를 다시 하고 퇴장한다. ‘마장뛰기’부터 ‘퇴장’까지는 박진감 넘친다. 비금뜀뛰기강강술래 중 가장 활력이 넘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비금뜀뛰기강강술래는 비금중학교 학생들이 연행했는데, 젊은 세대에게 민속문화를 전승하기 힘든 현실을 고려하면 이를 경연작으로 출품했다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이 직접 이 민속을 구연하고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은 소중한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강강술래 (1966.02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강강술래 (2009.09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