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금릉빗내농악(2011,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경상북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금릉빗내농악보존회 |
수상(단체상) | 대상 (대통령상) |
수상(개인상) | 지도상 (손영만) |
종목소개
금릉빗내농악은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개령면[開寧面] 광천동[廣川洞] 빗내마을에 전승되어온 농악이다. 개령면은 금릉군에 속한 지역으로, 삼한시대에는 감문국[甘文國]이라는 부족국가가 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곡창지대의 전형적인 농촌인 빗내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초엿새에 동제[洞祭]를 열었고, 이어서 농악놀이와 줄다리기도 했다. 마을의 안녕을 위해 진행하는 동제를 빗신[神]굿이라고 했는데, 빗신굿 본제에 앞서, 당산에 올라가 고하는 당산매구를 친 다음 마을로 내려와 지신밟기를 했다. 빗신굿 본제 뒤를 잇는 줄다리기는 동네를 동과 서로 나눠 줄을 당겼고, 이때 농악대와 각지에서 모여든 무당들이 두 패로 나뉘어 다드래기 가락으로 응원을 했다. 또한 단순한 농악이 아니라 빗신과 연결되는 점, 농사굿이 아닌 진[陣]굿으로 발전한 점, 상쇠의 계보가 정재진, 이군선, 윤상만, 우윤조, 이남춘, 김홍엽, 한기식, 손영만에 이르기까지 뚜렷하게 이어진 점, 자진모리류가 주종을 이루며 가락이 다양하고 힘이 있는 점, 그리고 판놀음의 대북춤, 양손을 벌려 활개를 치는 기러기춤, 풍물패가 서로 짝을 맞춰 손뼉을 치는 수박치기 등이 특색으로 꼽힌다. 쇠가락에는 질굿, 정저굿, 반죽굿, 다드래기, 연풍굿, 허허굿, 품앗이굿, 판굿, 영산굿, 채굿, 진굿, 굿거리 등이 있다. 특히 매구칠 때 상쇠가 “술먹세 술먹세 어풍치고 술먹세” 등의 소리를 내면서 농악대를 이끌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빗내농악은 36~46명 정도의 인원이 진행하는 진굿(군사굿)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흰색 저고리와 흰색 바지에 검은색 조끼를 입고, 홍·황·청 삼색띠를 두르며, 머리에는 전립을 쓴다. 북을 치는 치배들은 흰 꽃으로 장식된 커다란 고깔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쇠는 등판에 특별한 금빛 장신구가 달린 복색을 하고 앞이마에 꽃을 달아 지휘자임을 상징하는 점이 독특하다.
내용
금릉빗내농악보존회에서 실연한 빗내농악은 전체 12마당으로 구성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골매기굿, 질굿 쇠(꽹과리)에 맞춰 모든 풍물꾼이 춤을 추며 행진할 때 치는 가락으로, 빗내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해 가가호호 지신밟기를 하는 뜻도 된다.
문굿(문굿, 정적궁이) 풍물꾼들이 왔음을 알리는 신호 격으로 치는 가락이며, 정적궁이는 원진을 갖춘 판을 벌여 이를 준비하는 굿이다.
마당굿(자진정적궁이, 반죽굿, 엎어베기, 품앗이굿) 상쇠와 중쇠의 가락에 따라 전 풍물꾼이 빠른 가락으로 놀이훈련에 들어가는데, 상쇠와 종쇠가 서로 이동하면서 전 대원을 훈련한다.
영풍굿 병사의 훈련을 의미하며, 쇠잡이들이 원진 안에서 놀다 원의 선두로 들어가 상쇠의 신호에 따라 앞으로도 가고 반대 방향으로도 가며, 또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놀이를 한다.
판안다드레기, 소리굿 상쇠와 종쇠가 소리에 맞춰 쇠가락을 치며, 모든 풍물꾼이 가락에 맞춰 자기 악기와 장비가 이상 없음을 과시하며 신나게 뛰어논다.
기러기굿(기러기굿, 소쩍굿) 기러기굿은 풍물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풍물꾼이 옆으로 뛰며 기러기 모양 팔을 벌려 덩실덩실 춤을 춘다. 소쩍굿은 상쇠와 종쇠가 가락을 번갈아 치며 한가운데로 들어가 몸을 한 바퀴씩 돌며 쇠놀음을 한다.
허허굿 상쇠가 가락을 치다가 ‘허허허’ 소리를 하면 모든 풍물꾼이 ‘허허허’ 하며 대답을 하는데, 이는 자기 장비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것이다. 상쇠가 끝난 후에는 종쇠가 이를 반복하기도 한다.
쌍둥이굿(쌍둥이굿, 오방진굿) 풍물꾼들이 큰 원을 그리며 놀다가 상쇠의 신호에 따라 두 명씩 짝을 지어 작은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오방진굿은 모든 풍물꾼이 다섯 개의 작은 원을 만드는데, 쇠가 안쪽에서, 북, 장구, 소고(2)는 바깥에서 원을 만들어 돌며 논다.
판굿(채굿, 젯북) 판굿은 풍물꾼들이 양쪽으로 갈라선 굿판 가운데서 쇠놀이, 북놀이, 장구놀이, 소고놀이 순으로 노는 것이다. 상쇠가 채굿가락을 치면 소고가 한 줄로 소고놀이를 하고 이어 젯북을 치며, 몇몇 소고잡이가 한가운데로 춤을 추다가 빠른 가락에 수박(손뼉)치기를 한다.
영산다드레기 빗내진굿 중 어려운 가락과 놀이로 격렬한 전투 장면을 나타낸다. 악기와 소고가 두 패로 나뉘어 밀고 당기며 전쟁을 나타내는 격렬한 놀이를 한다.
진굿(가세진굿, 홑진, 접진, 팔자진, 대진풀이) 진굿은 빗내농악이 가진 군사굿의 특징을 보여준다. 상쇠와 종쇠가 두 패로 나뉘어 진을 치며 노는데, 이는 격전을 벌여 적을 포위·섬멸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쇠가 진을 풀면 모든 풍물꾼은 전쟁이 승리로 끝난 것을 기뻐하며 한데 어우러져 흥을 돋우며 춤을 춘다.
상사굿 놀이(전쟁)가 끝나고 각기 흩어져 흥겨운 마음으로 각 가정으로 돌아갈 때 느린 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상쇠가 ‘얼룰루 상사듸야’를 선창하면 모든 풍물꾼이 뒷소리를 따라 하며 돌아간다.
금릉빗내농악은 지역 농악의 특징이 보존되어 있으면서도 경상도 지역 특유의 농악 가락과 진풀이가 확인된다. 특히 진굿을 통해 군사농악적 면모가 잘 드러난다. 또한 경상도 내륙 지역 여러 농악과의 연관성과 전라도 내륙 지역 좌도농악과의 긴밀한 연관성 등 여러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 농악이라고 할 수 있다. 금릉빗내농악의 전통적인 면모가 잘 정리되어 경상도 내륙 지역 농악의 특징을 드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김천금릉빗내농악 (2019.09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 문화재청 문화재설명 연결: '김천금릉빗내농악'
- 유네스코 무형유산설명 연결: '농악'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자료 연결: '금릉빗내농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 연결: '김천금릉빗내농악'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