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매귀악(2011,울산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울산시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울산매귀악보존회
수상(단체상) 아리랑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종목소개

울산 지역에서 섣달부터 정월대보름까지 전개된 벽사 의례이자 새해맞이 축제다. 울산에서 전승되는 매귀악[煤鬼樂]은 보편적인 세시 민속놀이인 농악대의 지신밟기에 불교의 등공양[燈供養] 사상을 습합한 것이다. 매귀악은 불을 밝혀 역질[疫疾]을 쫓는 연희악으로, ‘등광궐아괘보살’ 일곱 글자의 창사[唱辭]에서 알 수 있다. 등광궐아괘보살은 가난한 여인이 부처님께 바친 일등[一燈]의 공덕으로 미래에 등광불[騰光佛]의 수기[受記]를 받는 것에서 유래한다. 불은 어둠을 밝히는 등명[燈明]의 실제다. 또한 정화[淨化], 화마[火魔], 재액귀[災厄鬼], 역병귀[疫病鬼], 역질귀[疫疾鬼] 등을 축귀[逐鬼]하고, 삿된 것을 불태우며 물리치는 벽사[辟邪]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아울러 불은 불꽃같이 타오르듯 번창하는 재물을 모으고 간직하는 축재[蓄財]의 의미도 있다.

내용

  1. 입장 정월 보름이 되면 마을 사람들은 마을 중간에 큰 종이 깃발을 세운 후 각기 술과 음식을 갖추고 깃발 아래 모여 먹고 마신다. 또한 오색 비단으로 만든 오색꽃을 꽂거나 가두가면을 쓰고 온갖 놀이를 하기도 한다. 먼저 울산 매귀악기[旗] 및 동 성황당기가 입장한다. 음복을 하고 온갖 연희가 있고 나서 매귀악의 핵심인 기두놀이가 이어진다. 기두놀이는 기두가면[魌頭假面]을 쓰고 놀이를 하는 것을 말하는데, 기두가면은 매귀악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잡귀를 쫓고 역병을 물리치기 위해 사용하는 두 눈이 달린 귀신의 탈을 일컫는다.
  2. 매귀악 설쇠잡이가 안내자 역할을 하고, 울산매귀악기, 성황기, 기두탈 쓴 자, 농악 순서로 진행한다. 기두 4인은 창과 방패를 들고 사방의 잡귀를 위협하며 쫓아낸다. 이후 각 가정을 방문해 지신을 밟아주는 지신밟기 순서로 넘어가는데, 대문굿, 성주굿, 조왕굿, 장독굿, 샘굿, 도장굿, 수문(守門)굿 순으로 진행한다.
  3. 사목[査木]살이 포시[哺時] 무렵, 각기 사목을 지고 와 사방으로 통하는 거리에 펴서 모아둔다. 종이 깃발과 함께 사목을 태우면서 가사를 지어 ‘등광궐아괘보살’ 일곱 자를 천천히 번갈아 노래하면서 그것이 다 타기를 기다린 후 다 타면 농악놀이로 옮겨간다.

    매귀악에는 몇 가지 독자적인 특징이 있다. 첫째, 크고 작은 지기의 등장과 소각이다. 서낭신을 표상하는 지기가 행사 끝에 소각되는 사례는 찾기 힘들다. 둘째, 섣달 보름 달밤에 젊은이들이 풍물을 연주하면서 서낭신을 맞이하는 것이다. 이는 노년층과 비교한 청년층의 생생력에 근거한 것으로, 특징적인 면모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기두 가면의 존재다. 방상시와 같은 계통으로, 보다 고형이라고 할 수 있는 기두가면 또는 그와 유사한 귀용면이 민간의 나례, 그것도 마을 단위의 매귀악(매귀, 매귀희, 매굿, 지신밟기 등)에 등장하는 사례는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넷째, 등궐살의 문제다. 민간신앙에서 불이 가지는 벽사소재[辟邪燒災]의 기능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매귀악처럼 각기 등걸을 가지고 나와 사거리에 모아두고 서낭신의 신체인 지기와 함께 태우며 주사를 교창[交唱]함으로써 가정과 공동체의 제액 및 방액을 추구하는 사례 역시 찾아보기 힘들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