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성황굿(2012,평안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평안북도
분야 의례
참여단체 평북영변대제보존회
수상(단체상) 아리랑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종목소개

영변성황굿은 평안북도 영변 지방에서 전승한 굿으로, 달리 ‘영변성황대제’라고도 부른다. 현재는 영변성황대제보존회에서 보존·전승하고 있다.

평안북도에서는 영변당굿과 철산당굿이 유명했다. 영변의 제단은 북당과 남당이 있었다. 북당에 좌정한 신은 북부동, 남당에 좌정한 신은 남부동의 수호신이었다. 북당의 경우 시장 상인들이 결성한 장터계에서 제비를 부담했으며, 일부는 읍민들이 십시일반 보탰다.

대제는 일 년에 한 번 또는 격년으로 벌였으며, 길일을 택해 5일 정도 진행했다. 주민들은 공동체 신앙으로서 질병을 면하고 입신출세의 신덕을 입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막대한 제비를 부담하면서도 정성을 다해 영변성황대제에 참여했다. 때문에 성황대제 때는 마을 주민들이 가을걷이를 끝내고 햇곡식을 집집이 추렴해 마을의 안녕을 소망하고 액운을 물리치며 태평성대와 길흉화복을 기원했다.

성황제가 끝나면 무녀들이 당굿을 시작한다. 성황제 의례는 감흥굿, 칠성굿, 타살굿, 영정굿, 조상굿, 성황굿, 대감굿, 사신풀이굿, 작두굿, 뒤전풀이 순으로 진행한다. 당굿은 보통 4~5일에서 1주일간 계속되는데, 이 기간 무녀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흥겹게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면서 진행한다.

연행을 위해 당산(장승)1개, 초가집 1채, 울타리 2개, 다리(8쪽) 1식, 샘 1개, 하천 1식, 장막 2개 횃불 2개, 지게 2개, 화투불 1개, 제상 1개, 깃발 16개, 풍물악기 23개, 나팔 1개, 거북 1개, 자루 1개, 바가지·항아리 13개, 가래 3개, 말목 3개, 메 4개, 의상 다수를 준비한다.

굿거리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마당 ‘입장’ 대기, 가마, 수레, 제관, 당주, 피리, 장고, 제금, 무녀, 대감, 장군, 도령, 평민 등이 입장한다. 주악이 울리면 위 순서로 단상에 올라가 일렬로 인사 후 뒤를 돌아 관주에게 인사한 뒤, 주악이 울림과 동시에 제단에 모이고, 주악이 그치면 대제를 시작한다.

둘째마당 ‘성황대제’ 신목(소나무)과 성황당에 일동 정숙한 자세로 주위에 둘러서 성황당에 위패를 점안하고, 제관이 촛불을 밝혀 향을 지핀 다음 현작재배하면 당주가 비나수로 청배한다.

셋째마당 ‘성황굿’ 대제를 마친 후 당주가 비나수, 만세받이, 성황맞이굿, 장군거리를 차례로 마치면 노적꾼이 들어와 무녀와 춤을 춘다. 춤이 끝나면 제관이 제전그릇에 돈을 놓고 당주는 덕담을 하고 술을 빚어 손님에게 대접한다.

넷째마당 ‘복나누기’ 성황맞이 노래를 하며 복주머니에 쌀, 금전을 넣어 평민과 무녀에게 던져주는데, 복주머니는 곧 ‘복’을 의미한다. 모두 마치면 일렬로 정돈해 심사위원과 관중에게 인사하고 퇴장한다.

영변성황굿은 점차 그 흔적을 찾기 어려워지고 있는 평안북도의 민속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또한 전통 양식을 복원해 전승하고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이정연 보유자를 중심으로 이어져 온 영변성황대제보존회에서 후속 세대에게 온전한 형태로 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북도 무형문화재 영변성황대제 (2007.10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