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뫼북춤(2012청소년,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대구시
분야 무용
참여단체 대구북중학교
수상(단체상) 금상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종목소개

날뫼북춤은 대구 비산동에 전승되는 비산농악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두드러지게 큰 북으로 추는 북춤이다. 비산대 일대의 동제당인 천왕대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던 마을 제사인 ‘천왕[天王]매기굿’의 지신풀이인 ‘천왕매기’와 더불어 북춤이 두드러지게 발달했는데, 경상도 덧배기가락과 춤으로 구성된다.

‘날뫼’라는 지역명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유래한다. 아득한 옛날 달내의 냇가에서 빨래하던 여인이 서쪽 하늘에서 요란한 풍악 소리가 들려 바라보니, 산 모양의 구름이 날아오고 있었다. 여인이 이를 보고 놀라 “동산이 떠 온다”라며 비명을 질렀더니, 날아오던 산이 땅에 떨어져 동산이 되었다. 날아와 산이 되었다 해 ‘날뫼’라 부르게 되었다. 날뫼의 원고개는 달성과 금호강 사이의 넓은 들판을 지나는 서울 나들길이었는데, 옛날 고을의 원이 이 길로 부임할 때 마을 사람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맞이하던 관습이 날뫼북춤의 기원이라고 전한다.

날뫼북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된다.

첫째마당 ‘정적궁이’ 군사굿적인 요소가 두드러진 장단의 북춤이 주를 이룬다.

둘째마당 ‘반직굿’ 일명 ‘마당굿’ 또는 ‘자반득이’라고도 한다. 연풍대, 돌아서 앉기, 서기, 북 넘기 등 고난도의 북 묘기가 펼쳐지는 마당이다.

셋째마당 ‘엎어빼기’ 빠른 덩더궁이 장단(자진모리)으로 이루어지며, 앉고 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음양의 이치를 표현하는 대목이다.

넷째마당 ‘다드래기’ 휘모리장단의 경상도식 표현이다. 웅장한 북 가락과 회오리처럼 휘돌아가 빠른 연풍대가 펼쳐지며, 발재간이 돋보이는 춤이다.

다섯째마당 ‘강강술래’ 전원이 원형 바깥쪽으로 향하고 옆으로 이동하면서 북을 치는데, 좌·우·좌 순으로 진행한다.

여섯째마당 ‘허허굿’ 질주하듯이 양발을 번갈아 솟구쳐 뛰며, 한 번은 북편과 북테를, 또 한 번은 북편을 치면서 춘다.

일곱째마당 ‘오방진’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위에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이다.

여덟째마당 ‘모듬굿’ 두 개의 원을 만든다. 모이고 흩어지면서 진행하는데, 다양한 춤사위를 펼치며, 가락이 변화무쌍해 날뫼북춤의 진수라 할 수 있다.

아홉째마당 ‘개인가락’ 북가락이 가장 발달된 것으로, 엇박으로 이뤄진 부분은 북가락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외발 돌며 북테 치기 등 개인 가량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열째마당 ‘살풀이굿’ 굿거리장단으로 진행하며, 풍요와 환희를 표현하는 춤판이다.

열한째마당 ‘개인놀이’ 북춤 중 소수의 기량 높은 북잽이들이 개인 기술을 펼치는데, 북으로 살풀이를 시작해 덩더궁이로 끝을 맺는다.

열두째마당 ‘덧배기굿’ 일명 ‘덧배기놀이가락’이라 한다. 덩더궁이 장단과 어깨춤이 발달했다.

경상도에서 발달한 큰 북을 치면서 지역 특유의 덧배기장단과 다드래기장단을 주로 연주하며 씩씩한 춤사위를 펼치는 날뫼북춤에는 특유의 남성적인 기개가 느껴진다. 독무와 함께 무대 상황에 따라 5인무, 8인무, 12인무, 24인무 등의 군무가 펼쳐져 구성의 유연성과 탄력성이 돋보인다. 이번 대회에 참가한 대구북중학교는 날뫼북춤을 중심으로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어 문화적 소양 함양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1984.07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