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큰굿(2012청소년,제주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제주도
분야 의례
참여단체 함덕고등학교
수상(단체상) 동상 (국립민속박물관장상)
수상(개인상) 지도상 (김수봉,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제주도에 전하고 있는 무속으로 가장 대규모의 굿을 ‘큰굿’이라 이른다. 큰굿은 경륜 있는 큰 심방을 수심방[首巫]으로 해 굿법을 지키며 연행하는 ‘차례차례재 차례굿’이다. ‘큰굿’은 전무구를 사용하고, 굿의 목적에 따른 모든 의례를 연속으로 다 하는 종합제로, 4~5명 이상의 심방이 동원되어 4~5일 또는 ‘두이레 열나흘’ 동안 하는 대규모 굿이다. 따라서 심방은 큰 무당, 즉 ‘문서를 아는 심방’이 맡아 굿법을 제하는 완벽한 굿이라 할 수 있다.

심방은 제차 의례부터 굿의 내용, 굿의 원리 등 굿법을 제대로 하는 큰 무당으로서, 사제의 직능, 점사의 직능, 신탁과 영매의 직능, 주의의 직능, 예인광대의 직능을 두루 갖춰야 한다.

굿은 거리의 성격상 청신의례, 공연의례, 기원 및 영신의례, 천도·해원의례, 오신의례, 가신·조상의례, 송신의례 등 크게 7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신을 모시는 초감제로 시작해 신의 서열에 따라 개별 의례를 진행하는데, 그 방식은 ‘본풀이’, ‘맞이’, ‘놀이’ 등 세 가지 형식을 취한다.

제주 큰굿의 절차를 크게 나눠 정리한 것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신의례(초감제, 초신맞이, 초상계) 신을 모시는 의례

  2. 공연의례(추물공연, 석살림, 보세감상) 신을 즐겁게하는 의례

  3. 기원 및 영신의례(불도맞이, 일월맞이,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초이공맞이, 삼공본풀이, 젯제상) ‘삼천천제석궁’에 좌정한 신들을 모시는 개별 의례와 참석 앉힌 신들을 청신하고, 다음 단계 ‘시왕맞이’를 준비하는 예비굿으로서의 ‘젯상계’를 하는 의례

  4. 천도·해원의례(시왕맞이, 요왕맞이, 세경본풀이, 제오상계) 죽은 영혼의 원한을 풀고, 천도하는 의례로 굿의 절정을 이룸

  5. 오신의례(전상놀이(삼공맞이), 세경놀이, 양궁숙임)

  6. 가신·조상의례(문전본풀이, 본향다리, 영개돌려세움) 문전본향과 마을영신을 영접하고 기원하며, 생업의 풍등과 악신의 구축을 위한 놀이 과정

  7. 송신의례(군웅만판, 칠성본풀이, 각도비념, 말놀이, 도전, 가수리, 뒤맞이) 신을 보내는 과정

    함덕고 학생들은 제주큰굿 가운데 불도맞이의 초감제, 수룩침, 질침 등의 과정에 해당하는 의례를 학생들이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무가와 무무를 중심으로 연출해 표현했다.

    함덕고 학생들이 제주도의 전통적인 종교적 행위로서 살아있는 큰굿에 접근하고자 한 시도는 매우 의의가 크다. 또한 학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대상인 무속을 민속문화로 인식해 직접 경험함으로써 제주 지역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학생들이 큰굿에 대규모로 참가하는 형식으로 연출해 원형의 면모를 벗어난 모습이 다수 확인되는 점은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