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안읍성군악(2012청소년,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순천낙안중학교

종목소개

‘낙안읍성군악’은 좌도농악의 군악적 면모를 잘 보여주는 농악이다. 낙안 지역은 옛날 외적이 쳐들어오면 그를 물리치거나 방어할 때 풍물을 울려 병사를 모으고, 군사를 독려하거나 사기를 높이기 위해 군호로 사용되었으며, 후대로 내려오면서 제의식 성격이 강해졌다. 다양한 진법과 진굿을 포함한 열두 마당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남성적이고 가락이 빠르며, 거칠면서도 세련된 것이 특징이다.

쇠잡이의 복색이 다른 지역과 달리 검은색에 삼색이 달린 쾌자를 입는 것이 특징이다. 정월달과 백중에 두레놀이를 하면서 많이 연행되었으며, 마당밟이에 판굿의 요소가 결합된 형태다.

낙악읍성군악은 열두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행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들당산 낙안읍성의 동문 밖 들판에서 굿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놀이를 신명 나게 한판 친 후, 농부들을 무동을 태우고 동문 밖 해자 위의 다리로 향한다.

  2. 다리굿 ‘독다리’라고 불리는 해자 위 다리에서 두 줄로 서서, 사설과 함께 안녕을 기원하면 다리굿을 친다.

  3. 문굿 동문 앞에서 한 줄로 서서 영기를 갈라 세우고 뛰어다니면서 영기를 감다가 두 줄로 늘어서서 한 판굿을 친 후, 영기의 삼지창을 서로 걸어 놓고 상쇠가 문을 열라는 신호로 부포를 삼지창 위에다 올리기를 3회 반복 후, 문이 열리면 성안으로 들어간다.

  4. 당산굿 길굿을 치며, 당산으로 가서 자정에 낙안군수를 지낸 임경업 장군께 비각에서 제를 모시고, 당산굿을 치고 벅구놀음을 한다.

  5. 마당밟이 당산제를 지낸 다음 날 마을의 각 집을 돌며 고사소리와 덕담으로 집안의 무사 안녕을 비는 굿을 한다.

  6. 판굿 마당밟이를 마치는 날, 넓은 공터에 모닥불을 피우고 판굿을 친다. 판굿에 대개 군악적인 요소가 남아있는 놀이를 주로 한다. 칠채 길굿으로 굿판을 정돈하고, 반입굿, 바락굿(풍류굿), 변형 날당산굿, 진굿, 도둑잽이굿, 어허굿, 노래굿, 배나리굿, 등지기굿, 뜀뛰기굿 순으로 놀이를 진행한다.

  7. 날당산 모든 굿이 끝나고 치배들이 동네 밖으로 나가는 굿이다. 이때 날당산 가락을 치고 난 후에는 당산이 무섭다고 해 뒤돌아보지 않고 성 밖으로 빨리 나간다. 성 밖 들판에서 한바탕 신명 나게 치고 모든 굿을 파한다.

    낙안읍성과 그 인근 지역에서는 70년대 후반까지 뜬쇠였던 ‘주깽매기’란 분이 상쇠로 유명했다고 한다. 이를 이어서 낙안 평사농악 상쇠인 김종대 선생이 지금까지 낙안과 인근의 농악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지역의 전통문화를 이어가기 위해 순천낙안중학교 60여 명 학생이 낙안읍성군악을 전승하고 있는 점은 매우 중요한 면모라 하겠다. 특히 다리굿과 당산굿, 마당밟이 등 전통 절차를 그대로 구성해 청소년들이 학습하는 것은 전통 형태를 지속하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라 여겨진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