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동래지신밟기(2012청소년,부산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부산시 |
분야 | 민속놀이 |
참여단체 | 동래원예술고등학교 |
종목소개
‘동래지신밟기’는 부산 동래구 지역에 전승되어오던 세시풍속으로, 정월에 집집이 농악을 치면서 축원하고 재액을 빌던 민속이다. 1977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4호로 지정되었다.
매년 정초부터 보름 사이에 동래 지역에서 잡신을 눌러 일 년 동안 마을과 각 가정의 안과태평 및 풍농과 재복을 발원하던 종교성을 띤 제의적 농악이라 할 수 있다. ‘지신밟기’란 이름에서도 연상할 수 있듯이, 뛰고 춤추며 간간이 축원의 풀이를 읊어온 것이 원형이었으리라 추정한다. 그런데 특별히 동래의 지신밟기에는 두 양반(사대부, 팔대부)과 탈을 쓴 젊은 각시, 신분은 보잘것없지만 언제나 양반 행세만 하려 드는 하동과 포수 등이 등장해 극을 펼친다. 하동이 양반과 각시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고, 포수는 양반에게 억울함을 당해 양반의 위선을 풍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를 통해 관중이 더욱 흥미를 느끼고 웃을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했던 것이다.
동래지신밟기는 ‘풍물잽이’와 ‘잡색’으로 구성되지만, 호남 지방과 같이 상모놀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농악의 장단은 굿거리, 자진모리가 중심이 되고, 춤사위는 허튼춤으로, 일정한 약속이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추는 흥풀이의 자유무가 중심이 된다. 농악대는 호적 1명, 쇠 4명, 징 2명, 북 5명, 장구 6명, 버꾸 7명, 잡색 12명으로 구성된다. 의상은 흰색 바지저고리에 옥색 조끼를 입고 두루마기를 걸친다.
첫째마당 ‘주산 지신풀이’
(1) 길굿 마을 앞 공터에 풍물잽이와 잡색이 모이면 풍물잽이가 자진모리장단으로 농악을 울리고, 잡색이 몸풀이로서 허튼춤을 한바탕 춘 다음, 길쇠장단의 농악을 울리며 깃발을 선두로 상쇠 이하 전원이 종대 행진을 하다, 하동과 포수는 떼로 행렬에서 빠져나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뛰어다니며 신명을 돋운다.
(1) 인사굿 자진모리장단이 그치고 상쇠의 신호가 울리면, 동네 주산신과 당산신을 향해 두 번 절을 한다.
(1) 주산 지신풀이 자진모리장단으로 농악이 울리면 잡색은 허튼춤을 추고, 상쇠는 주산 지신풀이를 한다.
둘째마당 ‘각 가정 지신풀이’
(1) 생원댁 개문풀이 김생원 대문 앞에 당도하면, 개문풀이를 전체가 복창한다.
(1) 마당놀이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허튼춤을 추다가 굿거리장단으로 전환되면 배김새 춤사위로 바뀌고, 다시 자진모리장단으로 변경한다. 소고놀이와 북놀이, 잡색놀음으로 개인놀이를 한다.
(1) 대청 지신풀이 상쇠는 대청 지신풀이를 하고, 풍물잽이는 북과 장고의 각을 쳐서 자진모리장단을 맞춰 준다.
(1) 성주풀이 풍물잽이는 자진모리장단을 울리고, 잡색은 그에 맞춰 허튼춤을 춘다. 춤이 흥겹게 벌어졌을 때 풍물잽이는 자진모리장단을 굿거리장단으로 바꾸고, 상쇠는 성주풀이를 한다.
(1) 위기자 성주풀이가 끝나면 굿거리장단에서 자진모리장단으로 변하고, 잡색은 허튼춤을 추다가 자진모리장단이 휘모리 장단으로 바뀌면, 잡색과 풍물잽이 모두가 두 패로 나눠 마주 보고 서서 함께 밀고 당기는 형상으로 앞으로 갔다가 뒤로 물러서고 하는 행위를 몇 번 반복하며 “위기자”라고 외친다.
(1) 주신풀이 주인 생원과 부인이 술상을 차려 마당 가운데로 가져다 놓으면, 상쇠는 주신풀이를 창한다.
주신풀이가 끝나고 나면,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신명 나게 한바탕 허튼춤을 추다가 하동의 외침으로 다른 생원댁으로 향해 다시 일렬로 줄을 지어 대문 밖으로 나간다.
동래원예고등학교에서는 동래지신밟기로 2011년 부산청소년민속예술제에 출전해 동상을 받았고, 2012년에 재도전해 최우수상을 받았다. 그리고 마침내 이번 대회에 참가해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장상인 아리랑상을 수상했다.
문화재 지정 현황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동래지신밟기 (1977.11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