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암골 목도소리(2013,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강원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화천문화원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목도소리’는 산간에서 나무를 한 후 땅으로 끌어 내리기 위해 부르는 노동요다. 특히 삼이 깊은 강원도 화천의 화악산, 대성산 등지에는 나무가 많아 ‘다목’이라는 마을에서 하던 소리다. 범암골의 목도꾼소리는 신현규 소리꾼이 전승한 소리를 바탕으로 한다. 신현규 소리꾼은 일제강점기부터 이 소리를 직접 듣고 자란 현장 체험자다. 목도소리는 산간에서 집단으로 힘을 발휘하고, 공동체 의식을 다지기 위해 단순하면서도 반복적인 선율에 강한 힘이 들어간다. 목도는 통나무나 돌덩이 같은 무거운 물체에 줄을 감아 그 줄에 목도채를 끼운 다음, 양쪽에서 두 사람이 어깨에 메고 나른다. 물체의 무게나 크기에 따라 2도, 4도, 6도, 8도, 16도 등으로 사람 수가 정해지며, 목도꾼들이 서로 걸음을 맞추기 위해 소리를 한다. 소리는 앞패와 뒷패로 나뉘어 선후창으로 주고받으면서 진행하며, 앞에 가는 패가 주도한다. 사설에는 전방의 지형을 알려주거나 사기를 북돋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며, 이따금 우스갯소리를 넣기도 한다.

대개 4인 1조의 일꾼들로 구성하며, ‘어이도 산호’로 목도소리를 해서 목재를 옮기는 작업을 진행한다.

실연된 범암골목도소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입장·산신제 풍물패놀이 일꾼들이 입장해서 산신제를 지낸다. 가운데 제사상을 두고 두 명의 제관이 제를 지내기 시작하면 풍물패가 악기를 울리고, 이후 일꾼들이 무릎을 꿇고 산신제를 지낸다. “범암골 산신령께 고합니다. 우리 일꾼들 오늘 하루 아무 사고 없이 일 잘할 수 있게 보살펴 주기옵기를 기원합니다.”라고 기원한다.

  2. 벌목·운재 4인 1조로 ‘어이도 산호’ 노래를 부르면서 벌목하는 과정을 연출한다. 두 명의 일꾼이 깍장쇠뢰 작은 통마루를 찍어 옮기기도 한다. 운동장 한가운데는 작은 통나무를 옮기는 일꾼들이, 운동장 바깥쪽으로는 지게를 진 일꾼들이 일렬로 지나가며 산 여기저기에서 벌어지는 벌목을 형상화한다.

  3. 목도 - 어깨에 메고 옮기기 4인 1조로 4도를 지어 작은 통나무들을 어깨에 메고 옮기기 시작한다. 옮길 때 목도꾼들은 “어이도 산호 / 가자가자” 노래를 부른다. 통나무를 멘 일꾼들이 운동장 한편에 조형물(배) 주변으로 원을 그리며 모여들어 배 앞으로 나르기, 외나무 건너서 배로 나르기를 진행한다. ● 배 앞으로 나르기 배가 있는 곳으로 통마루를 차례로 나른다. ● 외나무 건너서 배로 나르기 외나무다리를 넘어가는 과정을 연출한다. 이어서 배 앞에 나무를 쌓고, 바가지로 물을 뿌린다. 큰통나무에 앉은 소리꾼(신현구)과 사공들이 타 있는 큰 배가 출현하고, 소리꾼의 선창에 따라 노래를 하는데, “아리아리 스리스리 뱃놀이를 가자”로 다 함께 노래한다.

  4. 마무리 - 풍물한마당 목도들이 다 나오면 모두 큰절을 하고, 일꾼들은 큰 통나무를 내려놓고 어깨춤을 한판 추며 퇴장한다.

    범암골목도소리는 산이 깊은 지역에서 대규모 공동작업으로 진행하는 나무자르기에 뒤이어 나무나르기 등의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다. 작업의 특성상 위험한 과정이 노출되어 있고, 대규모 노동력이 필요한 작업이므로, 작업 참여자들의 합심이 필요하다. 범암골에 전해지는 목도소리는 이러한 과정을 전형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민속의 현장을 직접 경험한 신현규 옹의 소리를 통해 잘 전승된 현장을 확인했다고 할 수 있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