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정읍농악 문굿과 판굿(2013,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정읍시립농악단 |
수상(단체상) | 은상 (문화재청장상) |
종목소개
호남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 가운데 전라 서부·서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달리 ‘우도농악’이라 일컫는다. 정읍은 우도농악의 주요 전승지로, 역사에서도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특히 1910년대 ‘600만 교도’를 자랑하던 당시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의 보천교에서는 이 농악을 종교의례 양식으로 채용함으로써 매우 중요한 전승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정읍농악은 다른 지역 농악보다 그 내용이나 형식이 고도로 발달해, 예술성이 뛰어나다. 정읍농악이 기악 연주를 중심으로 하면서, 악[樂], 가[歌], 무[舞], 희[戱]가 골고루 조화를 이루고, 치배 구성면에서 장구가 크게 발달했다는 점, 집단놀이뿐만 아니라 각 치배가 높은 예능 실력을 자랑하는 ‘개인놀이’로 발달한 점을 자랑으로 삼는다.
문굿과 판굿을 출품한 팀은 정읍농악 보유자인 유지화(정읍시립농악단)로부터 고증을 받았다. 연출을 위한 소품으로 당산나무, 고사상 등이 활용되었다.
정읍농악의 연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얼림굿 - 입장굿 인사 후 상쇠를 기준으로 마주 보고 횡대로 서서, 청령소리굿, 이채, 이루삼채, 넘기는 가락, 이채 순으로 진행한다. 인사굿을 한 장단 친 후 멍석말이진법으로 넘어간다.
당산굿 - 멍석말이 치배들이 소라 모양에서 소용돌이 모양의 원으로 감아 돌아들었다가 다시 풀어나가는 멍석말이진을 선보인다. 무대 한가운데서 다시 멍석말이진법을 한다.
이열종대 자진 빠른 삼채로 상쇠가 삼진삼퇴(세 번 전진 했다가 세 번 후퇴하는 동작)를 하며 여러 재주를 발휘한다. 종대로 짝을 이뤄 옆품살이(서로 등을 기대고 고개를 돌리며 서로 마주 보는 동작)를 하고 콩등지기를 한다.
앉은진풀이 - 이자진(두줄)이 일진(한줄)으로 변함 징, 장구, 북을 제외한 나머지 치배들이 화살표 방향과 같이 쪼그려 앉아 다시 자기 자리로 앉은 상태의 진풀이를 한다. 이후 상쇠가 대열 사이를 오고 가며 이자진이 일자진으로 변한다.
일려종대 일자진 (1) 영기중심 영기 앞에서 마을에 굿을 칠 수 있도록 허락을 받는 과정으로, 영기가 좌우 ‘X’자로 오고 가는 행동을 하면, 치배들은 악기를 치고 팔을 들며 좌우로 몸을 흔든다.
(2) 멍석말이 마을의 허락을 받으면, 상쇠는 중앙에서 멍석말을 한 후에 좌우로 나뉜 영기를 멍석말이 진으로 농악대와 합류시킨다. 다시 상쇠가 중앙에서 멍석말이 진을 한다.
매도지-원 만들기 원진을 만든 후 빠른 삼채를 치며 쇠·장구가 안쪽에 원을 만들고, 상쇠의 매도지 신호를 듣고 연풍대 또는 자반 뒤집기를 하며 문굿으로 마무리한다.
호호굿(판굿) 호호굿은 세 개의 겹원 상태에서 작은 겹원을 만들며 상쇠의 난타로 시작한다. 장단 뒤에 ‘호호’ 하는 구음을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호호굿머리, 호호굿, 본 장단, 자진호호굿으로 구성된다. 호호굿을 치며 작은 겹원을 풀고 큰 원으로 진을 다시 구성한다.
좌우지기 호호굿을 치며 겹원에서 큰 원을 만든 후에는 자진호호굿으로 바뀌는데, 전체 치배들이 약을 치며 좌측 한 번, 우측 한 번 옆으로 뛰어다닌다. 그 후 상쇠 신호에 따라 안으로 한번 밖으로 한번, 다시 한번 안으로 들어오며, 두 번째 안으로 들어왔을 때 변가락을 치고 다시 뒤로 나간 후 제자리에 앉아 변가락을 친다. 그 뒤 상쇠가 하나, 둘 또는 셋씩 지그재그로 풀어 나온 후 쌍방울진을 위한 11자 진을 구성한다.
쌍방울진 상쇠가 모든 치배를 홀·짝으로 나눠 상쇠줄과 부쇠줄을 만들며, 11자 진 양쪽 줄에서 서로 교차하며 가세치기를 두 번 한 후, 다시 11자 진을 만들어 미지기를 준비한다.
미지기 가세치기를 한 후, 조금 좁은 11자 진 미지기로 들어간다. 이때 치배들은 자진반삼채를 치며 상쇠줄을 먼저 두 번 당기고, 두 번 밀고, 서로 한 장단씩 뒤로 물러 공간을 만든다. 다시 11자 진이 되었을 때 상쇠 신호에 된삼채로 가락을 바꾸며 짧은 매도지로 마무리 짓는다.
벙어리 삼채 짧은 매도지 후 상쇠줄과 부쇠줄은 바깥으로 반원을 만들며 돌고, 상쇠와 부쇠가 양쪽에서 만나기 전 벙어리삼채가락으로 바꾸면서 두 줄로 흩어져 있던 치배들을 다시 한 줄로 만든다.
매도지 한 줄을 만든 치배들은 세 개의 겹원으로 구성하고, 긴 매도지로 셋째 마당을 마무리한다.
정읍농악은 호남의 대표적인 우도농악으로 전통을 이어왔으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 1996년 전라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정읍시와 전라북도의 지원으로 전승자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 지역 특성이 드러난 농악의 면모를 통해 전통성을 확보하고, 독자적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정읍농악 (1996.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