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무돌농악(2013,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무돌농악단 |
수상(단체상) | 동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
종목소개
무돌농악은 호남농악 중에서도 우도농악에 속한다. 예로부터 전승한 미륵동의 판굿농악을 중심으로, 칠석동의 고싸움놀이농악, 소촌동의 당산농악, 산월동의 풍장농악, 옥동(평동)과 유계동(동곡)의 걸립농악 등 광산구 지역에서 연주되는 다양한 농악을 집대성했다.
농사일과 더불어 연주하는 호남우도농악이 갖는 다양한 특징은 물론, 전통 진법 등이 흥겨운 가락과 함께 이 지역 주민들의 예술적 창조 정신과 함께 전승되었다. 판굿은 대개 저녁 식사를 마친 후에 시작해 다음 날 새벽까지 계속되는 긴 과정이다. 여기에는 가락을 중심으로 한 음악적 요소를 포함해 무용・연극적 요소가 어우러져 종합적인 형태로 설명할 수 있다. 무돌농악의 쇠가락은 굿의 각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락의 끊고 맺음이 다른 지역보다 확실해 전체 흐름을 파악하기가 쉽고, 앞가락과 뒷가락의 쇠가락을 항상 한 쌍으로 묶어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돌농악의 과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입장・질굿마당 굿머리를 마친 후 입장해 인사굿, 오채질굿, 된오채질굿, 늦은알채굿, 벙어리삼채, 벙어리일채, 된삼채, 응매깽, 잦은일채 순으로 질굿마당을 진행한다. 전 과정에 걸쳐 원진을 중심으로 진행하며, 주변으로 잡색들이 이동한다.
오방진굿마당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에 방울진을 치며, 원진과 개인놀이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다섯 방향의 ‘진’은 군대에 병사들이 머무는 진영을 뜻하는 말이다. 오방진굿을 연희한 후, 구정놀이, 쇠놀이, 쇠장구놀이를 이어 하고, 매도지가락으로 맺는다.
호허굿마당 좌우진퇴, 지신매기, 지신밟기, 콩등지기, 용틀임 등 다양한 진법을 진행한다. 특히 좌우진퇴는 우동작, 좌동작, 진[進]동작, 연꽃의 꽃봉오리 같은 형태의 연봉치기, 퇴[退]동작 등 다섯 동작으로 구성한다.
개인놀이마당 치배들이 ‘ㄷ’자 모양으로 정열한 뒤, 악기별로 놀이를 진행하는데, 소고놀이, 북놀이, 징놀이, 쇠놀이, 장구놀이, 12발 상모놀이 등 잽이들의 집단놀이와 개인놀이를 펼친다.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는 광주 광산구의 무돌농악은 미륵동 농악을 근간으로 하면서 광주 광산구의 여러 마을 농악을 집대성한 것이다. 광산구에는 무돌농악 외에도 광산농악, 산월농악, 칠석농악 등이 있으므로, 이들 농악과 다른 점이 어떠한 과정에서 창조적으로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예컨대 쇳가락의 끊고 맺음이 다른 지역보다 확실하다거나, 앞가락과 뒷가락의 쇠가락이 항상 한 쌍으로 묶여 연주되는 점 등이 흥미롭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