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평안도다리굿(2013,평안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평안북도 |
분야 | 의례 |
참여단체 | 평안도다리굿보존회 |
수상(단체상) | 장려상 (단양군수상) |
종목소개
우리나라는 전국에 망자의 저승 천도를 위한 굿이 있으며, 서울의 새남굿, 진오기굿 등과 같은 형태의 지역 사례가 많다. 이중 평안도다리굿은 오래전부터 평안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사령[死靈]굿으로, 망자[亡者]의 한을 강신무[降神巫]를 통해 풀고, 이승의 미련을 떨친 채 저승에 편히 안주하기를 비는 굿이다. 평안도다리굿은 규모가 크고 불교 색채가 강한 것이 특징으로, 평안북도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인 굿 형태다. 다리굿의 구성은 열 네거리로 되어있다. 신[神]께 아뢰는 당 울림을 시작으로, 잡귀를 물려 굿 청을 정화하는 ‘주당푸념’, 신들을 청해 들이는 ‘앉은청배’, 명[命]을 주는 칠성신과 복을 주는 제석[帝釋]을 모시는 ‘칠성굿’, 잡귀영정을 풀어먹이는 ‘영정거리’, 서낭을 모시는 ‘기쁨·서낭굿’, 재수를 빌어 주는 흥겨운 ‘대감굿’으로 이어진다. 대감굿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망자[亡者]를 위한 굿에 들어가 망자가 무당의 입을 통해 생전에 맺힌 한을 풀어가는 ‘기밀굿’을 한 다음, 저승사자를 모시는 ‘사자[使者]굿’, 망자의 저승 천도를 비는 ‘다릿발세경’을 하고, 이어지는 뒤풀이에서 굿에 들어온 잡귀를 모두 풀어먹여 보내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다리굿은 살아 있을 때 하면 장수할 뿐만 아니라, 죽은 후에도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다고 해 부유한 집안에서는 나이든 노인을 위해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산다리굿’이라 칭한다. 다릿발이라고 불리는 기다란 무명을 굿당 밖에 걸어 놓고 굿을 하는데, 이 다릿발은 사자[使者]다리, 망인[亡人]다리, 조상다리, 세천[西天]다리를 뜻하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총 열네 거리로 구성되며, 불교적인 색채가 강하다. 일곱 자, 일곱 치 길이의 삼베와 무명천(근래에는 소창을 사용함)을 준비해 놓고 대무당이 굿소리를 하면서 다릿발을 오가며 망자가 좋은 곳으로 가도록 인도한다.
평안도다리굿의 연행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입장 제관이 제단을 향해 술을 따르고, 향을 꽂고, 촛불을 켜 제를 올린다. 제를 마치면 무녀가 청배무가로 “오늘날이야”를 시작하면 피리와 장구가 “에헤야”로 받으면서 굿을 시작한다. 무녀가 신을 청하는 무가를 진행할 때, 다른 단원은 제단을 꾸미고, 공연준비를 한다. 주무가 무녀가 앞장서고, 나머지 단원들이 입장해서 각자 위치에 선다.
사방문 열기 무녀가 ‘넋상’ 앞으로 가서 긴염불을 시작한다. 피리와 장구가 장단을 맞추고, 점차 잦은염불로 바꾼다. 무녀는 나비 옷으로 갈아입고 넋상 주위를 돌며 법구춤을 추고, 이를 마친 후 세천다리가 있는 곳으로 간다.
배따라기 무녀 세천다리(베)를 가르며 넋두리를 시작한다. 무녀가 넋두리를 마치면 무녀 1인과 또 다른 무녀 1인이 베 사이를 돌며 법구춤을 춘다. 이때 사자가 나타나서 진행을 방해한다.
마무리 무녀가 가른 베를 사려서 사자에게 넘겨주고, 갈 때 쓸 노잣돈도 준다. 이후 무녀가 “지정보살 지정보살” 염불을 외면서 단원들은 퇴장한다.
평안도다리굿은 현재 김남순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평안도의 대표적인 민속문화다. 죽은 자의 넋을 달래고 천도를 한다는 측면에서 종교적 색채를 띤다. 또한 대표적인 북한 지역 민속문화로서 일찍이 학문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은 종목인 만큼, 지역 전통과 특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전승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북도 무형문화재 평안도 다리굿 (2017.10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