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수영농청놀이(2013청소년,부산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부산시 |
분야 | 민속놀이 |
참여단체 |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
수상(단체상) | 동상 (국립국악원장상) |
종목소개
수영농청놀이는 조선시대 부산 수영 지역에서 농부들이 농청을 조직해 집단으로 농사짓던 모습을 놀이화한 것이다. 조직과 규율 속에서 농사일을 해가는 과정, 특히 논농사 작업을 반영했다. 가래소리, 모찌기, 김매기, 도리깨 타작소리 등의 농요가 중심이 되고, 보리타작과 소싸움을 곁들여 흥을 돋우는 칭칭소리를 부르고 춤을 추며 피로를 푼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입장, 가래소리 영각이 마당 한가운데로 나와 동·서·남·북으로 영각을 네 번 분다. 자진모리장단에 기수를 앞세우고, 모든 연희자가 쟁기와 써레, 황소와 흑소를 몰고 입장해 마당을 한 바퀴 돈다. 모든 연희자가 퇴장하고, 황소와 흑소가 쟁기와 써레로 논을 갈고, 우장을 걸친 가래꾼들이 가래질과 가래소리를 한다. 영각이 울리면 장군이를 지게에 지고 마당 한가운데로 나오고, 잡사리(비옷)을 걸친 내방청들이 마당 가장자리에 모판을 깐다. 쟁기와 써레가 마당 한가운데에서 논을 갈고, 가래꾼들이 가래질을 하면 소리꾼이 가래소리를 한다.
모찌기소리 가래소리가 끝나면 가래꾼들이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퇴장하고, 이어 잡사리를 걸친 내방청들이 춤추며 나와 모판 앞에서 선다. 악이 멈추면 내방청들이 허리를 숙여 모를 찌고 소리꾼이 모찌기소리를 한다. 이때 쟁기와 써레, 소는 퇴장하고, 모찌기 뒷일꾼들이 논을 정리하고, 일부는 모 벼루기를 한다. 가래꾼들이 퇴장하면 쟁기와 써레는 그대로 논을 갈고, 뒷일꾼들이 세모리를 밟거나 농기구로 손질해 편편하게 한다. ‘세모리’란 써레질을 하고 나서 흙이 고르게 통하게 남아있는 부분을 말하는데, 이것을 농기구로 편편하게 고르는 작업이다.
모심기소리, 도리깨타작 모찌기 소리가 끝나면 다시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내방청들이 걸쳤던 잡사리를 마당 가장자리에 차례로 벗어 놓고, 모를 심기 위해 논으로 나가 일렬횡대 대형을 갖춘다. 악이 멈추면 내방청들이 모를 심고 소리꾼이 모심기소리를 하는데, 이때 뒷일꾼들이 모춤을 옮겨주며 모심기를 거든다. 모심기가 진행되는 동안 한쪽에서는 도리깨타작이 펼쳐진다. 세모리 작업을 하던 뒷일꾼들도 내방청이 잡사리를 벗을 때 같이 퇴장해 우장을 벗고 모심기 뒷일에 나선다. 모를 절반쯤 심어가면 한쪽에 마련된 타작마당에서 도리깨로 보리타작을 하는데, 한 마당에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도리깨 타작소리는 하지 않는다. 모심기가 끝나갈 무렵 새참이 나오고, 모심기와 도리깨작업을 끝낸 일꾼들이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새참을 먹는다. 이때 한쪽에서 황소와 흑소에게도 여물을 먹인다.
김매기소리 새참을 먹는 동안 간단한 농신제가 있고, 영각이 울리면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농청원은 김매기 대형으로, 내방청은 호미를 들고 논둑으로 자리를 잡는다. 악이 멈추고 농청원이 김매기를 하면 소리꾼이 김매기소리를 하고 북수가 장단을 받는데, 이때 내방청은 호미로 밭매기를 한다. 김매기가 끝나면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심어졌던 모를 모두 거둬들이고 소싸움 대형을 갖춘다.
소싸움, 칭칭소리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동부와 서부 농청원들과 내방청들이 기를 앞세우고 마당을 한 바퀴 돌며 소싸움을 준비하고, 영각이 울리면 소싸움을 벌이는데, 동부농청이 이기면서 다 같이 흥겨운 판굿을 벌린다. 소싸움은 통상적으로 동부농청이 이기게 하는데, 이긴 마을은 이듬해 논농사가 풍년이 되고 진 마을은 밭농사가 풍년이 된다는 의미가 있다. 이긴 쪽과 진 쪽이 한데 어울려 춤과 추임새로 칭칭소리를 부르며 화합의 장을 펼치는데, 별도의 칭칭소리는 하지 않는다.
원래 농사를 지으며 노동요를 부르는 것은 고된 노동의 고달픔을 달래기 위함이지만, 수영농청놀이의 내용은 그와는 별로 관계가 없다. 대체로 인생살이의 애환과 신세타령이 주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민속놀이를 하면서 영각, 도롱이, 접사리, 가래, 삭가래, 쟁기, 써래, 풍석, 영기 등 다수의 농기구를 재현한다. 이 놀이가 발굴됨으로써 농청에서 집단으로 농사짓는 모습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수영농청놀이 (1972.02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