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날뫼북춤(2013청소년,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대구시 |
분야 | 무용 |
참여단체 | 대평중학교 |
수상(단체상) | 동상 (국립민속박물관장상) |
종목소개
날뫼(현재의 비산동)의 원고개는 달성과 금호강 사이의 넓은 들판을 지나는 서울 나들길이었다. 옛날 고을의 원이 이 길로 부임할 때, 마을 사람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맞이하던 관습이 날뫼북춤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특히 백성의 추앙을 받던 한 목민관이 순직하자, 이곳에 무덤을 쓰고 봄가을로 제사를 올렸는데, 이때 외로운 원님의 혼을 달래기 위해 북을 울리며 춤추던 관행이 날뫼북춤으로 이어졌다고도 한다.
날뫼북춤은 열두 마당으로 구성되며, 악사는 쇠, 징, 장고, 태평소로 구성된다. 북춤은 독무와 군무로 나뉘고, 군무는 무대와 마당 상황에 따라 5인무, 8인무, 12인무, 24인무 등으로 가감해 춤판을 펼친다. 각 과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적궁이 군사굿적인 요소가 두드러진 장단의 북춤이 주를 이룬다.
반직굿 일명 ‘마당굿’ 또는 ‘자반득’이라고도 한다. 연풍대, 돌아서 앉기, 서기, 북 넘기 등 고난도의 북묘기가 펼쳐지는 마당이다.
엎어빼기 빠른 덩덕궁이 장단(자진모리)으로 구성되며, 앉고 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음양의 이치를 표현하는 대목이다.
다드래기 휘모리장단의 경상도식 표현이다. 웅장한 북 가락과 회오리처럼 휘돌아가 빠른 연풍대가 펼쳐지며, 발재간이 돋보이는 춤이다.
강강술래 전원이 원형 바깥쪽으로 향하고 옆으로 이동하면서 북을 치는데, 좌·우·좌 순으로 진행한다.
허허굿 질주하듯이 양발을 번갈아 솟구쳐 뛰며, 한 번은 북편과 북테를, 또 한 번은 북편을 치면서 춘다.
오방진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위에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이다.
모듬굿 두 개의 원을 만든다. 모이고 흩어지면서 진행하는데, 다양한 춤사위를 펼치며, 가락이 변화무쌍해 날뫼북춤의 진수라 할 수 있다.
개인가락 북가락이 가장 발달된 것으로, 엇박으로 이뤄진 부분은 북가락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외발 돌며 북테 치기 등 개인 가량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살풀이굿 굿거리장단으로 진행하며, 풍요와 환희를 표현하는 춤판이다.
개인놀이 북춤 중 소수의 기량 높은 북잽이들이 개인 기술을 펼치는데, 북으로 살풀이를 시작해 덩더궁이로 끝을 맺는다.
덧배기굿 일명 ‘덧배기놀이가락’이라 한다. 덩더궁이 장단과 어깨춤이 발달했다.
경상도 고유의 덧배기 장단과 다드래기 장단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날뫼북춤은 그 춤사위에서도 경상도 특유의 어깨춤이 잘 표현되어 있다. 다소 어린 중학생들이 길지 않은 기간에 큰 북을 가지고 춤을 추면서 숙련하기는 큰 노력이 필요했을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이 익히는 과정에서 정교한 동작보다는 날뫼북춤의 씩씩한 기개와 활달함을 몸에 익히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1984.07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