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임실두레놀이(2014,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민속놀이 |
참여단체 | 임실두레놀이전승회 |
수상(단체상) | 동상 (국립국악원장상) |
종목소개
‘임실두레놀이’는 전라북도 임실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두레’ 전통을 보여주는 민속이다. 두레는 논농사를 지을 때 필요한 ‘공동 노동’을 위해 만들고 가꾼 생활문화다. 이에 따라 임실두레놀이도 논농사를 지으면서 행한 두레의 공동 노동과 세시 절기에 따른 놀이로 그 구성을 보여주면서 임실 지역의 한 해 농사 과정을 압축해 전달하고 있다. 두레농악은 필봉농악 가락을 주 가락으로 하며, 마을굿을 진행한다.
임실두레놀이는 굿머리, 모내기, 김매기, 상머슴뽑기, 농신제, 상머슴입장, 두레판굿, 대동굿 순으로 구성된다. 풍물패가 기굿을 치려고 농기를 중심으로 상수 뒤쪽으로 모이면, 어름굿을 치면서 하수 앞쪽으로 써래꾼과 소가 입장한다. 풍물패와 농부들이 상수 뒤쪽에서 을자진을 그리며 입장한다. 입장이 끝나면 농군들이 모내기와 김매기를 한다. 이때 선소리꾼이 모내기 때는 상사소리, 김매기 때는 문열가와 어휘싸호소리를 한다. 모내기와 김매기가 끝나면 상머슴뽑기를 한다. 마을 농부들이 무대 앞에 앉아서 상머슴 뽑는 마을 회의를 한다. 상머슴을 뽑은 후에는 다 같이 모여 농신제를 지낸다. 마을 사당에 제를 올리는 행위를 한다. 그리고 상머슴이 사다리를 타고 나발을 불며 풍물패와 같이 풍장을 치며 한 바퀴 돈다. 풍물패는 양옆으로 갈라서고 가운데서 상머슴을 태우고 논다. 산아지타령을 하며 상머슴을 중심으로 신명풀이를 진행한다. 한해 농사가 끝나면 고생한 머슴과 마을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져 두레판굿을 한다. 그리고 두레꾼과 풍물패, 마을 사람들이 무대 가운데로 모여들어 대동굿을 한다. 을자진으로 무대 가운데에 모여들면서 방울을 말고, 구경꾼도 끼어들어 신명을 풀며 대동굿을 마무리한다.
임실두레놀이는 두레를 중심으로 한해 논농사의 과정을 보여준 작품이다. 상머슴뽑기와 상머슴을 놀리는 장면이 있으나, 논농사소리에서 행위가 일정하게 반복되고, 두레판굿과 대동굿이 이어져 연출상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필봉농악 가락’을 중심으로 한 농악 가락이 잘 드러난 것에 의의가 있으며, 모내기 때 상사소리, 김매기 때 문열가와 어휘싸호소리, 상머슴등장 때 산아지타령 등이 잘 구연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