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오실집들이굿놀음(2014,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남해오실집들이굿놀음보존회
수상(단체상) 동상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상)

종목소개

‘남해오실집들이굿놀음’은 경상남도 남해군 오곡마을에서 새로 집을 지을 터의 부정과 악귀를 없애기 위해 성주신을 비롯한 가신들을 모시는 제의를 하는 민속이다. 제의뿐만 아니라 매구패들의 굿놀음, 백두산 두꺼비 업을 모시는 행위 등을 포함해 마을잔치의 모습으로 연행했다. 또한 마을 당산나무에서 대주를 현관으로 모시고 당산제를 한 후, 마을 공동우물로 가서 새미굿을 하는 남해 지역 집들이의 특징도 반영했다.

이 놀이는 입장, 당산제 및 새미굿, 문굿, 성주, 조왕굿, 업맞이, 곡간굿, 잔치한마당, 매구판굿, 퇴장 순으로 진행했다. 지신밟기 굿 가락에 맞춰 입장하고, 대주를 현관으로 모셔 분향, 현작, 고축, 재배 순으로 현관례를 진행한다. 현관례가 끝나면 메구는 당산굿을 하고, 당산굿이 끝나면 우물로 이동해 새미굿을 한다. 집 밖 의례가 끝나면 마당으로 들어가서 오방진굿을 친다. 가신 중 최고의 신격으로 대접받는 성주신한테 먼저 대주가 술을 올리고 재배한다. 그 후 매구패가 성주굿을 하고, 성주굿이 끝나면 바로 조왕굿을 한다. 마당에서 성주굿과 조왕굿을 끝내면, 메구는 대문 밖으로 나가 백두산 업을 맞이한다. 동네 사람들은 대문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대문 안에서 담장 너머로 구경을 할 뿐이다. 업쟁이는 업에게 백두산 업인지 확인하고, 확인이 끝나면 대문 안으로 모셔 대접을 한다. 풍성하게 업을 대접한 후에는 곡간으로 이동해 곡간굿을 한다. 가신을 모시는 의례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마당에 모여서 ‘치나친친노세’를 부르고 춤을 추면서 잔치처럼 어울려 논다. 노래가 끝나면 대주영감은 매구패와 동네 사람들에게 감사 인사를 한다. 마지막으로 매구패들의 판굿이 이어지고, 매구판굿이 끝나면 퇴장한다.

경상남도 남해오실집들이굿놀음은 실제 의례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요소를 첨가한 작품이다. 새집을 지으면 집들이를 하면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나무에 가서 당산굿을 하고, 공동우물에서 새미굿을 하는 과정이 잘 보였고, 집안의 여러 가신, 특히 업을 모시는 장면까지도 확인되어 가치가 있다. 그러나 전체 구성은 산만해 아쉬움이 남는다. 업을 모시는 장면을 연극적으로 구성했는데, 무대 공연 특성상 잘 표현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의례 이후 마을잔치나 매구패들의 판굿으로 구성된 것 또한 전체 놀이의 의미를 희석한듯해 아쉬움으로 남는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