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광주지산농악(2014청소년,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광주동신중학교 |
수상(단체상) | 은상 (강원도지사) |
종목소개
‘광주지산농악’은 호남우도농악의 중간격인 영무장농악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광주 지산면 일대는 50~60년대 말까지도 다양한 농악이 성행했는데, 이를 토대로 재현한 것이 지산농악이다. 지산면은 남도의 젖줄인 영산강 상류 새암 들녘에 인접한 마을로, 광주광역시는 물론 인근의 장성군, 담양군과 같이 마당밟이굿은 물론 걸립굿, 두레농악 등이 발달한 고장이다. 지산농악은 영산강 상류 새암들녘에 인접한 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악을 재현한 것이다.
지산농악은 걸립굿, 두레굿, 마당밟기 등의 집단노동과 함께 굿으로 사용되면서 전통의 맥을 이어 왔다. 느린 가락을 부드럽게 변화를 주면서 한가로운 듯한 박자감으로 연주를 시작해 흥을 돋은 다음 점차 경쾌한 흐름으로 신명을 살리며 끝을 맺는 기승전결을 갖춘 특성이 있다. 특히 박자감이 다채롭고 다양한 가락을 구성하며, 쇠가락과 춤사위 발달로 놀음놀이에서 윗놀이보다 밑놀이에 치중해 장구가락이 매우 발달했다. 개인놀이 또한 조화롭게 발달해왔다. 쇠놀이, 부포놀이는 그 기교가 다양하면서도 섬세하다. 북놀이와 고깔소고놀이는 타 농악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하고 구성진 몸짓과 발놀음으로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키며, 특히 지금은 사라져가는 고깔소고가 잘 전승되고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동신중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지산농악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굿 내드름굿 일·이·삼채가락을 마친 후 일채로 입장해 오채질굿, 된오채질굿, 갖은일채, 벙어리삼채, 벙어리일채, 된삼채, 음매갱, 일채를 친다.
오방진 오방진의 오방은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에 진을 치는 것을 형상화해 덕석몰기로 진을 쌓아 연주하다, 가락을 난타로 털어서 앉았다 삼채가락으로 풀고 나온다. 이후 쇠꾼놀이, 쇠와 장구놀이 반삼채, 매도지가락으로 맺는다.
허허굿 허허굿은 원형진을 만들고 열두마치(12채), 허허굿, 자진허허굿을 친다. 좌·우·진·퇴(좌우치기, 연봉치기)를 한 뒤 지심매기, 지신밟기, 콩등지기, 용틀임, 두줄치기, 좌·우·진·퇴, 가세치기를 한 다음, 개인놀이 대형인 ‘ㄷ’자진으로 치배들을 세운다.
개인놀이 치배들이 개인 기량을 한껏 보여주는 마무리 마당이다. 잡색놀이, 소고놀이, 북놀이, 쇠놀이, 설장구놀이, 열두발상모놀이로 마무리하고, 인사굿을 한 다음 휘몰이로 퇴장한다.
광주동신중학교는 지난 2000년부터 사물놀이, 풍물놀이 등을 끊임없이 학습해 직접 전통민속을 찾는 과정을 지속해왔으며, 최근에는 광주의 지역 농악인 지산농악을 전승함으로써 학생들이 전통 농악을 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지역 농악은 그 지역문화의 원류를 담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화의 전통적인 형태가 동신중학교 학생들을 통해 전승될 수 있도록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