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용전걸궁농악(2015,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전통용전농악회 |
수상(단체상) |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종목소개
용전걸궁농악은 걸립농악에서 소리굿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농악대가 집집이 찾아가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이는 축원덕담을 하고, 노래와 춤을 추면서 돈과 곡식을 모으는 과정을 차례로 보여준다. 상쇠는 성주굿에서 성주풀이와 중천맥이, 액막이, 업타령, 노적타령으로 집안의 복을 빌고 업과 노적을 쌓아주는 춤과 노래를 펼치며, 이어서 잽이들이 개인 장기를 펼치는 구정놀이를 한다. 이후 모두가 성주를 향해 인사를 올리는 것으로 맺는다. 특히 대포수가 좌창과 우창을 데리고 걸립을 허락받는 장면은 호남 지역 농악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용전걸궁농악의 과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어울림 가락과 허락 집주인에게 걸립굿을 해도 좋은지 허락을 받는 과정이다. 동네 마당에 농악대가 집결해 울림굿 가락을 치면, 대포수와 창부 두 명(좌창, 우창)이 걸립을 할 집 대문 앞에서 주인을 부른다. 집 안으로 들어가서 주인을 만나 협상을 하고 밖으로 나오는 과정을 보여준다.
문굿 가락과 집안 입장 대포수와 창부가 걸립굿을 허락받으면, 농자기(농기)와 영기 두 개를 앞세우고 마당에 입장한 다음 마당밟이를 한다. 마당밟이를 한 농악대가 대청 앞에 늘어서고 잽이들의 장기를 보여주면서 성주신을 즐겁게 하는 놀이를 한다.
걸립굿 소리와 춤 연희 농악대가 대청을 향해 서서 노래와 춤을 추면서 걸립굿을 한다. 성주 고사상을 앞에 놓고 농악대가 재담과 덕담으로 주인을 즐겁게 하고, 춤과 노래 과정을 보여준다.
용전걸궁농악은 전통적인 걸립 과정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불리는 중천맥이, 액막이, 업타령, 노적타령 등을 전승하고 있다. 걸립을 허락받는 과정에서는 마을을 벗어난 걸립인지, 아니면 마을 내 지신밟기인지 구분이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이에 대한 보완 설명이 필요하다. 영산강 유역에 위치해 기름진 평야가 있던 용전마을은 논농사와 관련한 농요가 발달해 용전들노래보존회에서 다양하게 보존하고 있다. 농악에서 전승하는 다양한 소리굿과 용전들노래의 공유 내지는 상관성 여부도 흥미롭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