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리선돌제(2015,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북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입석선돌제보존위원회
수상(단체상) 신명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종목소개

‘입석리선돌제’는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입석리에서 선돌에 치성을 드리는 행위를 반영한 작품이다. 입석리 마을 입구에는 돌을 쌓아 만든 거대한 선돌 7개가 서 있는데, 여기서 마을 이름 ‘입석리(立石里)’가 유래한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선돌이 있는 곳이라 해 ‘선돌백이’라고도 부른다. 입석리 주민들은 선돌을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겼다. 그래서 선돌에 치성을 드리기도 하고, 작은 돌을 선돌 위에 던져서 그 돌 위로 올라가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믿었다.

입석리선돌제는 입장, 힘겨루기, 선돌나르기, 선돌쌓기, 금줄꼬기, 금줄감기, 콩심기, 애기씨돌 선돌에 얹기, 선돌제의식, 비손하기, 풍년놀이, 퇴장 순으로 구성된다. 우선 풍장패가 길놀이를 하며 입장을 한다. 마을 주민들이 전부 입장하면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서로 힘겨루기를 한다. 힘겨루기는 무거운 돌 들기로 한다. 더 무거운 돌을 드는 쪽이 이기는 것이다. 이 힘겨루기에 따라 윗마을과 아랫마을의 역할이 달라진다. 진 마을은 무거운 선돌을 나르고, 이긴 마을은 선돌을 쌓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다 함께 금줄꼬기를 한다. 왼새끼로 금줄을 꼰 후 마을의 부정과 액운을 막기 위해 선돌에 감는다. 금줄감기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은 흩어지고, 아낙네들은 콩심기를 하며 소리를 한다. 콩 심는 소리가 끝나면 아낙네들은 다시 선돌에 가서 아이를 얻고자 선돌 위에 애기씨돌을 던져 올린다. 던진 애기씨돌이 선돌에 얹어지면 아이를 잉태한다고 해, 성공한 아낙네들은 신명 나게 춤을 추고, 실패한 아낙네는 땅을 치고 통곡한다. 이런 행위가 끝나면 선돌에 가서 축원고사를 지낸다. 마을 주민들은 횃불을 들고 등장해 병이 낫기를 기원하거나 아들 출산을 기원한다. 고사와 비념이 끝나면 풍년놀이를 해 모두 나와 한바탕 신명 나게 논다.

충청북도의 입석리선돌제는 지역 특성을 토대로 한 경연작이다. 마을 상징물을 중심으로 새롭게 공연을 구성했는데, 이 과정을 통해 전통에서 벗어난 요소가 다수 첨가되어 아쉬움이 남는다.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힘겨루기를 해 역할을 나누고, 선돌을 새롭게 쌓아 올리는 과정이 놀이 본래의 전통인지 의문이 든다. 마을 상징물인 선돌의 소중함을 나타내기보다는, 공연 자체를 위해 짠듯한 구성이 아쉬움을 더한다. 반면 아낙네들의 아이 출산을 위해 비념을 하거나, 애기씨돌을 얹는 모습은 소중한 전통을 재현했다고 판단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