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걸립농악(2015청소년,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수상(단체상) 은상 (경기도교육감상)

종목소개

웃다리농악은 우리나라 중부 지역에 해당하는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일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 용어다. 대전·공주 지역의 웃다리농악은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는 대표 농악이라 할 수 있다. 공주걸립농악은 계룡산을 중심으로 산재한 갑사, 신원사, 마곡사 등에서 불사를 일으키면서 승려들이 꽹과리, 징, 북을 치며 가가호호 방문하며 모금을 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웃다리농악은 한때 끊어질 위기에 처했으나, 송순갑 어른이 다시 정리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주걸립농악’은 정월대보름 전후에 농악대가 집집이 방문해 농악을 치고, 곡식이나 돈을 모으던 걸립농악의 전통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따라서 공주걸립농악은 마을 입구에서 당산나무에 인사를 드리고 마을로 들어가는 당산굿을 시작으로 우물굿, 문굿, 성주굿, 뒤굿, 칠채오방진, 당산놀이, 개인놀이(버나, 땅재주, 무동놀이-열두발), 돌림벅구로 이어지는 구성을 하고 있다.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이 가운데 일부를 진행했다. 공주걸립농악의 진행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산굿 마을 입구에서 당산나무에 인사를 드리고 마을에 들어가는 의식을 한다.

  2. 우물굿 동네의 샘에서 치는 굿으로 마을의 우물이 마르지 않고 깨끗한 물이 나오기를 기원한다.

  3. 문굿 집에 들어갈 때 허락을 받고 대문을 들어가는 굿이다.

  4. 성주굿(축원고사덕담) 성주굿은 곳간, 장독, 부엌굿을 다치고 집안에서 지내는 안택굿을 총칭하는 것으로, 집안의 여러 장소에서 고사를 지내는 굿이다.

  5. 뒤굿, 칠채(길군악) 고사를 지내고 마당에서 걸립패가 농악을 치며 재주를 부리며 한바탕 노는 뒤굿과 상쇠의 칠채 머리가락에 따라 전 대원이 칠채를 치며, 칠채굿을 진행된다.

  6. 당산놀이 당산 대형에서 상쇠의 가락에 따라 상모잽이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 외 줄배기, 좌우치기 등을 한다.

  7. 개인놀이 재비들이 순서대로 재주를 보이는 과정으로 버나돌리기, 땅재주, 무동놀이, 열두발상모 순으로 진행한다.

  8. 돌림벅구 인사를 한 뒤 상쇠를 따라 삼채가락에 이어 된삼채가락을 치면서 상쇠를 중심으로 잽이들이 2~3개의 원을 겹으로 만들며, 이채를 치면서 벅구는 밖에 원에서 외상이나 양상을 치기도 하며, 또는 자반뒤집기를 한다.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는 1970년대 후반 이래 그의 전신인 공주농고시절부터 지금까지 충청도 웃다리농악을 전승해왔다. 청소년들이 지역 전통 농악을 전승하면서 지역문화를 지킨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학생들이 걸립농악의 전형을 학습해 전통적인 공동체 문화의 면모를 잘 계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