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전주기접놀이(2016,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민속놀이 |
참여단체 | 전주기접놀이보존회 |
수상(단체상) | 대상 (대통령상) |
수상(개인상) | 지도상 (심영배) |
종목소개
‘전주기접놀이’는 전라북도 전주시 남서쪽 삼천변 주변 너른 뜰을 형성하고 있는 평화동과 삼천동의 두레꾼들이 용기[龍旗]를 가지고 놀던 놀이를 재현한 작품이다. 이 지역에서는 각 마을에서 기를 제작해 놀이를 펼쳤는데, 전주기접놀이는 백중날 여러 마을의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합굿뫼기(합굿)’를 하며 기놀이를 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술메기를 통해 농군을 위로하고, 술·음식과 함께 기놀이를 하며 마을 간 화합과 연대를 도모하던 놀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주기접놀이는 회의 마당, 경연마당, 대동마당, 전송마당 등 총 네 마당으로 구성되는데, 가장 먼저 만두레의 풍경이 보인다. 만두레 소리를 부르면서 마지막 논매기를 마치고, 상머슴을 놀리며 한 해 농사의 끝을 자축하는 장면을 재현한다. 이때 합굿놀이를 주최하고자 하는 마을이 총회를 열어 합굿 일정을 결정한 후 이웃한 형제 마을을 초청한다. 이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은 사동을 통해 각 마을에 전해진다. 합굿날 초대에 응한 상·하촌마을이 용기를 앞세워 주최 마을로 향한다. 이때 주최 마을은 동구 밖에 나가 손님을 정중히 영접한다. 이처럼 기인사를 나눈 후 넓은 공터에 집결해 합굿이 시작되었음을 선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부터 마을별로 농악을 필두로 해서 개인놀이, 기놀이, 기싸움 등 힘과 기예를 겨루는 치열한 경연을 벌인다. 특히 용기놀이가 절정에 달해 마을 사람들의 흥이 올라 있는 상태에서 네 개의 용기가 한데 뭉치는데, 이를 ‘용기부딪치기’라고 한다. 서로 기를 맞대놓고 높이 뛰는데, 깃봉이 땅에 떨어진 마을은 곧 기의 제작연도를 현재로 바꾸며, 마을 주민들은 모두 상위 마을에 인사하는 것으로 기세배를 한다. 경쟁을 통해 승패가 가려지면 형님마을과 아우마을이 결정되고, 이로써 서열을 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험악했던 분위기는 농악 한마당을 통해 신명의 장으로 전환된다. 농악을 매개로 하나가 되면서 이내 합굿뫼기의 진면목인 대동굿판이 형성된다. 치열하게 싸우던 기잽이들도 이때는 깃발을 놀리며 신명 나게 즐긴다. 이처럼 신명의 절정을 이루던 합굿이 끝나면 초청한 마을이 각 마을의 중간 지점까지 환송한다.
전주기접놀이는 전라북도 전주시, 즉 지역의 전통 풍경을 공연으로 승화한 좋은 본보기며, 만두레와 술메기 전통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부과할 수 있다. 한 해 농사의 반을 매듭짓는 백중 무렵, 용기를 놀리던 놀이 문화를 통해 백중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의 소중함을 인정하게 된다. 또한 논농사 전통 속에서 기[旗], 특히 용기를 위하는 문화의 가치와 의의를 다시금 깨닫게 한다. 그러나 이것이 이 지역 술메기 전통의 원형인가는 뚜렷하지 않다. 경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용기놀이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상대적으로 합굿뫼기의 본질이 사라진 것은 아닌가 판단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전주기접놀이 (2018.03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