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대전웃다리농악(2016,대전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대전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 |
수상(단체상) | 은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 |
종목소개
웃다리농악은 우리나라 중부에 해당하는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일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 용어다. 대전·공주 지역의 웃다리농악은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악이라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 최근까지 웃다리 풍물은 고인이 된 송순갑, 이원보, 최성구, 양도일 등의 주도로 전승되었으며, 현재는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에서 전승을 책임지고 있다. 대전의 웃다리농악은 한때 전승이 끊어질 위기에 처해있었으나, 중앙농악회에서 운영한 ‘대전웃다리농악대’를 통해 연행된 농악이 송순갑 어른에 의해 정리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전 웃다리농악의 판굿은 굿패들이 가지고 있는 갖은 기예를 보여주기 위해, 여러 가지 놀이와 진풀이를 순서대로 짜서 마당에서 벌이는 굿판이다. 경쾌하고 흥청거리는 가락에 맞춰 진풀이도 생동감이 넘치고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대전웃다리농악은 인사굿, 돌림벅구, 당산벌림, 칠채 오방감기와 풀기, 무동쾌자놀이, 소고절굿대놀이, 십자걸이, 사통백이, 좌우치기, 쩍쩍이, 풍년굿, 고사리꺽기, 도둑잽이굿, 소고판굿놀이, 개인놀이(따벅구, 설장구, 쇠놀이, 소고놀이, 살판, 버나, 죽방울, 12발놀이), 퇴장굿 순으로 연행한다.
외돌림벅구(멍석말이) 상쇠를 따라 삼채가락에 이어 된삼채가락을 치고, 상쇠를 중심으로 잽이들과 새미들이 네 개의 원을 겹으로 만들어 이채를 치며, 벅구는 바깥 원에서 자반뒤집기를 한다.
당산벌림(양상치기, ‘乙’자진) 삼채가락을 치면서 원을 풀어 잽이 한 줄, 벅구 한 줄, 새미 한 줄로 ‘ㄷ’자 대형을 갖추고, 상쇠는 연타채를 치면서 중앙에서 놀다가 벅구쪽으로 가서 내주는 가락을 4박을 친 다음, 상쇠가락에 따라 벅구 전원이 앞으로 8보 걸어간 다음 제자리에서 2박자에 이어 이채가락을 치면, 벅구는 양상을 돌리고 솟음벅구를 한다. 연타채를 치면 벅구는 제자리로 복귀한 후 삼채가락에 따라 벅구들이 ‘乙’자형 방향으로 이동하며, 잽이와 두줄로 마주 보면서 된삼채가락으로 넘어가면 악사와 벅구는 빠른 사사와 일사를 돌린다.
칠채오방진 상쇠의 머리가락으로 칠채를 치면서 중앙진을 만든 후 연타채와 벙어리칠채 장단을 연주하고, 된삼채장단에 이어 이채가락으로 넘어가면 벅구들은 상쇠신호가락을 듣고 자반뒤집기를 한다. 중앙진을 풀어 나올 때는 짝쇠가락을 치며, 당산벌림 대형을 만든다.
소고절굿대놀이(쌍줄백이, 외줄백이) 상쇠가 연타채를 치면서 돌사위로 맺고, 놀이 삼채 첫 가락은 제자리에서 들으며, 두 번째, 세 번째 가락에서 일보 전진 후 제자리에서 놀이삼채가락에 맞춰 앉아 서고를 2회 한다. 외줄백이 대형을 만들기 위해 잽이의 한가운데를 향해 이동할 때 상쇠는 쇠채발림을 한다. 외줄백이 대형이 만들어지면 놀이삼채가락에 맞춰 상쇠의 신호에 따라, 벅구줄 전체가 앉고 서고를 2회 반복한다. 삼채가락을 치면서 벅구 전체는 부쇠 방향으로 ‘ㄷ’자 형태를 그리면서 잽이를 향해 들어올 때 쌍줄을 만들고, 가락에 맞춰 수벅구 쪽부터 앉아 서고를 주고받는 식으로 2회 반복한다.
십자걸이 잽이들은 삼채가락을 치면서 당산대형을 풀어 반원을 그리고, 정면을 향해 일렬로 대형을 만들며, 벅구와 새미 전체가 잽이의 한가운데를 교차하면서 십자 대형을 만든 다음 제자리에서 이채가락으로 맺는다.
사통백이 삼채가락을 치면서 십자 대형의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4개의 원을 만들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태극선을 따라 상쇠원, 잽이원, 수벅구원, 끝벅구원 순으로 풀어 나오면서 큰 원을 만든다.
고사리꺾기 큰 원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상쇠의 연타채가락 신호에 따라 모든 출연진이 한가운데를 보면서 앉는다. 시계방향으로 놀이삼채를 치면서 잽이를 태극선 형식으로 따고 나오다가 가락을 삼채가락으로 바꾸고, 수벅구부터 끝벅구까지 잽이들의 사이로 한 명씩 들어가서 일렬종대 대형을 만든다.
도둑잽이굿 일렬종대 대형에서 삼채가락에서 이채가락으로 맺으면 벅구는 상쇠 쪽으로 일보 나오며, 이채가락으로 치고 맺으면 제자리로 들어간다. 이것을 상쇠의 신호에 따라 반복한다. 삼채가락으로 상쇠는 벅구줄을 달고, 부쇠는 잽이 줄을 달아 서로 반대 방향 좌우 직각으로 돌아 정면을 향해 쌍줄로 들어온 다음, 쌍줄이 안으로 돌아 나오면서 상쇠의 연타채 신호가락에 따라 전 대원이 개인놀이 대형을 만든다.
개인놀이 소고놀이, 상쇠놀이, 설장구, 살판, 무동놀이, 12발(긴채상)놀이 순으로 진행한다.
내돌림벅구 상쇠가 된삼채가락을 치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큰 원을 만들면, 수벅구가 벅구 전원을 이끌고 잽이 안쪽으로 자반뒤집기로 들어오다가 작은 원을 만든 다음 제자리에 선다. 상쇠는 이채가락을 치다가 짝쇠가락으로 넘기며, 이때 벅구는 엎어백이, 제자리연풍대, 양상을 하면서 솟음벅구 옆상치기까지 한 후 인사굿으로 마무리한다.
퇴장 행진 가락을 치고 멍석말이를 풀고 이채가락으로 맺으면서 3~4줄로 퇴장한다.
웃다리농악은 대전 농악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른 시기에 지역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웃다리농악의 전형을 잘 전승하고 있으며, 다양한 공연 활동은 물론 지역 학생들에게 교육하면서 웃다리농악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웃다리농악 (1989.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