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읍내걸립농악(2016,인천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인천시
분야 농악
참여단체 인천풍물연구보존회
수상(단체상) 동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종목소개

‘인천읍내걸립농악’은 인천 문학동에 전하는 민속놀이로서, ‘낭걸립’ 형태로 진행한다. 또한 짧게는 보름, 길게는 달포에 걸쳐 인천 읍내 가가호호를 돌며 걸립을 해 모은 곡식과 돈으로 안관당제를 봉행하는 추렴 형태의 걸립농악이다. 이 농악의 근원지는 옛 인천의 부읍 소재지였던 문학동이다. 인천 읍내(문학동)에서 시작해, 여무실(관교동 일원), 밤나무골(율목동), 싸리재(내동), 경동, 중앙동, 관동까지 짧게는 보름, 길게는 달포에 걸쳐 인천읍내 가가호호를 돌며 걸립을 돌았다고 전한다. 걸립패는 문학산 정상에서 사방지신에게 걸립을 고하는 사방굿을 치는 것으로 시작해 성황제를 지내고, 국사기(신표)와 낭기(성황기)를 앞세워 마을로 내려와 집돌이를 한다.

인천읍내걸립농악의 전체 절차는 길굿, 사방굿, 서낭제, 들당산굿, 대동샘굿, 판굿, 고사굿, 날당산굿 등 총 8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길굿 걸립패 행중이 상청(숙소)에서 국사기와 낭기(용기), 농기, 영기를 앞세우고 제수를 차려 농악을 울리며 제를 올린 후, 마을의 신격을 모시는 문학산 안관당터 성황당으로 가서 걸립을 고하는 서낭제를 지낸다.

  2. 사방굿 성황당에서 동방청제지신, 서방백제지신, 남방적제지신, 북방흑제지신에게 걸립을 고하는 사방굿을 친 후에 서낭제를 지낸다.

  3. 서낭제 봉주취위[奉主就位], 분향강신[焚香降神], 참신[參神], 초헌[初獻], 독축[讀祝],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망요례[望燎禮], 음복례[飮福禮] 순으로 진행한다.

  4. 들당산굿 걸립패가 마을 어귀에 도착해 걸립 여부를 물어 허락이 떨어지면 깃발을 흔들어 걸립(곰뱅이)이 텄음을 알리고, 걸립패들이 깃발을 흔들어 이에 응답하고 마을로 들어간다.

  5. 샘굿 마을에 들어간 걸립패가 마을 대동우물에 가서 마을의 질병을 물리치고 주민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샘굿을 한다.

  6. 판굿 걸립패가 대동마당으로 가서 농악 판굿을 연주하는 등 갖은 기예를 보여준다.

  7. 고사굿 집가심을 원하는 마을 주민이 있는 집을가가호호를 도는 집돌이를 한다.

  8. 날당산굿 걸립패는 마을에서 걸립을 모두 마치면 마을 어귀에서 날당산굿을 치고 걸립을 마무리한다.

    인천읍내걸립농악은 인천의 지역문화를 잘 담고 있으며, 걸립농악의 전형을 잘 확인할 수 있는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지역문화로서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을 드러내는 가락과 구성에 대한 면모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야 할 것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