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성황대제(2016,평안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평안북도
분야 의례
참여단체 영변성황대제보존회
수상(단체상) 신명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종목소개

성황굿은 평안북도 영변 지방에서 전승한 마을굿으로, ‘영변성황대제’라고도 부른다. 현재는 영변성황대제보존회에서 보존·전승하고 있다. 평안북도 영변 당굿의 제단은 북당과 남당이 있었고, 예전부터 남당보다 북당의 세가 우세했다고 한다. 대제는 일 년에 한 번 또는 격년으로 벌어지며, 길일을 택해 5일 정도 진행했다. 성황대제는 마을 주민들이 가을걷이를 끝낸 후 햇곡식을 집마다 추렴해 마을의 안녕을 소망하고 액운을 물리치며 태평성대와 길흉화복을 기원하는 의례다.

성황제가 끝나면 무녀들이 당굿을 시작한다. 성황제 의례는 감흥굿, 칠성굿, 타살굿, 영정굿, 조상굿, 성황굿, 대감굿, 사신풀이굿, 작두굿, 뒤전풀이 순으로 진행하며, 당굿은 강신굿, 대감놀이, 거리굿 순으로 진행한다.

영변성황대제에서 연행하는 춤은 접신을 표현하는 의례로, 신이 지시하는 행동이나 언어를 가무악 형식으로 표현하며, 영변 지방에서는 이를 거상악[擧床樂]이라 부른다. 사용하는 악기는 타악기로, 장구, 피리, 제금 등을 연주하며, 장구는 상장구와 하장구로 구성된다. 상장구는 술말이 역할을 하면서도 무악의 대장이며, 제관만신은 상장구와 절대적인 호흡을 맞추면서 성황대제를 이끌며 푸념을 직접 행하거나 뒷전을 전담하는 등 놀이에서 이인자 역할을 한다. 주로 사용하는 장단은 푸념장단, 비난수장단, 긴염불장단, 자진염불장단, 굿거리장단, 벅구장단, 굿장단 등이 있으며, 이중 푸념, 비난수, 긴염불, 자진염불은 청배장단이다. 춤 장단으로는 굿거리장단, 굿장단, 벅구장단이 쓰인다.

성황굿의 진행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 음식을 진설해 거상을 하고, 깃발, 피리, 장고 2, 제금 2, 동자, 동녀, 제관, 제관, 만신, 재가집, 마을 사람 순으로 입장한다.

  2. 당제 제관과 제관만신이 거상을 하며, 마을에 안녕을 빌고 액운을 물리치기 위해 삼배를 올린다.

  3. 비나수 당산에 마을과 주민의 복을 기원한다.

  4. 성황넋두리 남성황과 여성황을 모시고 마을에 평안과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국태민안을 축원한다.

  5. 제장굿 제관만신이 성황필을 감아 당제를 올린 것에 대한 응답을 구한다.

  6. 동자굿 제관만신에게 동자신이 접신되어 동자굿을 행한다.

  7. 돈타령 제관만신이 선소리를 하면 악사를 비롯한 마을 사람들이 뒷소리를 하면서 부자가 되도록 축원한다.

    성황굿은 북한 지역의 민속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전통 양식을 복원해 북한 지역문화의 원천으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성황대제로서 전승의 의미를 명확히 드러내는 부분이 자료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 평안북도 무속의 전통적인 형태가 지속해서 유지될 수 있도록 더 큰 노력이 기울여지기를 기대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북도 무형문화재 영변성황대제 (2007.10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