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공주걸립농악(2016청소년,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충청남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
수상(단체상) | 은상 (전북도지사상) |
종목소개
웃다리농악은 우리나라 중부 지역에 해당하는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일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 용어다. 대전·공주 지역의 웃다리농악은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는 대표 농악이라 할 수 있다. ‘공주걸립농악’은 계룡산 인근의 갑사, 신원사, 마곡사 등에서 불사를 일으키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때 끊어질 위기에 처했으나, 송순갑 어른이 다시 정리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걸립농악은 농악대들이 주로 정월대보름 전후, 또는 추석 전후에 걸립을 할 때 치는 것이다. 이렇게 농악대가 각 가정을 방문해 집안고사굿을 쳐주고는 곡식이나 돈을 얻는 의례를 ‘걸립굿’ 또는 ‘걸립친다’, ‘걸궁났다’고 하는데, 마당밟기나 지신밟기 또는 매귀([埋鬼], 매굿) 등과 같은 형태를 말한다.
공주걸립농악의 순서는 지방에 따라 다르나, 마을 입구에서 당산나무에 인사를 드리고 마을을 들어가는 당산굿을 시작으로 우물굿, 문굿, 성주굿, 뒤굿, 칠채오방진, 절굿대놀이, 개인놀이(버나, 땅재주, 무동놀이, 열두발), 멍석말이, 인사굿으로 이어지며, 이렇게 화를 쫓고 복을 부르는 의례를 행한 뒤, 그 집에서 마련한 고사상의 제물을 받아온다.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서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이 가운데 일부를 진행했으며, 그 진행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당산굿 마을 입구에서 당산나무에 인사를 드리고 마을에 들어가는 의식을 한다.
우물굿 동네의 샘에서 치는 굿으로, 마을의 우물이 마르지 않고 깨끗한 물이 나오기를 기원한다.
문굿 집에 들어갈 때 허락을 받고 대문을 들어가는 굿이다.
성주굿(축원고사덕담) 성주굿은 곳간, 장독, 부엌굿을 다치고 집안에서 지내는 안택굿을 총칭하는 것으로, 집안 여러 장소에서 고사를 지내는 굿이다.
뒤굿 고사를 지내고 마당에서 걸립패가 농악을 치고 재주를 부리며 한바탕 논다
칠채(길군악) 상쇠의 칠채 머리가락에 따라 전 대원이 칠채를 치며, 칠채굿을 진행한다.
당산놀이 당산 대형에서 상쇠의 가락에 따라 상모잽이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 외줄배기, 좌우치기 등을 한다.
개인놀이 재비들이 순서대로 재주를 보이는 과정으로, 버나돌리기, 땅재주, 무동놀이, 열두발상모 순으로 진행한다.
인근 지역에서 전승된 웃다리농악이 1977년 명인(조연출) 정인삼 선생님의 지도를 받은 공주농업고등학교 방과 후 동아리로 전국대회에 나가고, 공주웃다리보존회로 ’88 서울올림픽에 참가하는 등 업적을 쌓기도 했다. 출전 당시 주진영 교장 선생님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농악반이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 등 공주 지역 웃다리풍물 전승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왔다.
공주농업고등학교는 현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의 전신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충청도 웃다리농악을 집중적으로 전승하기 시작하면서 오늘날까지 근 40년 가까이 맥을 이어온 대표적인 전승학교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공주걸립농악의 전승을 잇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수상을 통해 결실을 보면서 지역 농악의 이름을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학생들의 소중한 경험이 차후 충청도의 지역 농악을 보존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