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광주지산농악(2017,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지산농악보존회 |
수상(단체상) | 최우수상 (국무총리상) |
종목소개
‘광주지산농악’은 남도의 젖줄인 영산강 상류 새암 들녘에 있는 마을 ‘지산’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악을 재현한 것이다. 지산은 그 지리적 이점으로 농사가 무척 발달했으며, 예로부터 정월대보름에는 온갖 제액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는 당산굿과 마당밟이(뜰밟이)를 거행했고, 농사철에는 농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두레굿을 쳤고, 마을 공공자금 모금을 위한 걸립굿을 쳤다. 이런 마을 행사에는 늘 농악패가 앞장섰고, 이것이 오늘날 지산농악으로 전승된 것이다.
광주지산농악은 호남 서부의 곡창지대에서 정읍, 고창, 이리(익산), 영광 등지로 전승된 ‘호남우도농악’에 속한다. 호남우도농악에는 다채로운 진[陳]놀음이 발달했고, 상쇠의 부포놀음과 설장구 등의 개인놀이가 발달했다. 이렇게 다른 지역 농악보다 화려하고 섬세한 가락을 간직한 호남우도농악의 특징은 광주지산농악으로 올곧이 전승되고 있다. 이렇게 호남우도농악이 뛰어난 예술성을 간직한 것은 이 지역에 걸출한 농악 명인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상쇠는 전경환(영광), 정종석(광주 지산), 이주완(광주), 장구는 김오채(영광), 최막동(광주), 김성수(나주), 심상문(담양), 법고는 강대륙(영광), 박용하(고창) 등의 명인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호남의 중심지 광주에서도 많은 활동을 펼쳤고, 이로써 광주지산농악은 오늘날과 같은 독특한 가락과 복색, 개인놀이, 진법 등이 발달할 수 있었다.
광주지산농악은 호남창극단에서 활동했던 용전마을 상쇠 정종석(광주 지산)에 이어 정영을이, 김오채류 설장구는 김학중, 김홍식, 김오채, 김동언, 이대휴, 정영을이, 설북은 광산농악의 서창순 대를 이은 진준한이, 영무장 농악의 고깔소고는 강모질, 김양술, 박용하, 정영을이 전승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광주지산농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질굿마당 내드름굿 일·이·삼채가락을 마친 후 일체로 입장해 오채질굿, 된오채질굿, 갖은일채, 벙어리삼채, 벙어리일채, 된삼채, 음매갱, 일체를 친다.
오방진마당 오방진은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에 진을 치는 것이다. 덕석몰기로 진을 쌓아 연주하다, 가락을 난타로 털어서 앉았다, 삼채가락으로 풀고 나온다. 이후 반삼채, 매도지가락으로 맺는다.
호허굿마당 원형진을 만들고 열두마치(12채), 허허굿, 자진허허굿을 친다. 좌·우·진·퇴(좌우치기, 연봉치기)를 한 뒤 지심매기, 지신밟기, 콩등지기, 용틀임, 두줄치기, 좌·우·진·퇴, 가세치기를 한 다음, 개인놀이 대형인 ‘ㄷ’자 진으로 치배들을 세운다.
개인놀이 치배들이 개인 기량을 한껏 보여주는 마당이다. 잡색놀이, 소고놀이, 북놀이, 쇠놀이, 설장구놀이, 열두발상모놀이 등을 하고, 인사굿을 한 다음 휘몰이로 퇴장한다.
광주지산농악은 호남우도농악의 특징인 느린 가락에 부드럽게 변화를 주며 한가로운 듯한 박자감으로 연주를 시작해 흥을 돋은 후, 점차 경쾌한 흐름으로 신명을 살리다 끝을 맺는 기승전결의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다채로운 가락 구성이 쇠가락과 춤사위로 이어지면서 우도농악의 주요한 특징인 밑놀이를 잘 보여준다. 이렇게 우도농악의 특성을 잘 담고 있는 광주지산농악이 지역 전통문화의 소중한 유산으로 잘 전승될 수 있도록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