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 가루뱅이농악(2017,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대구시
분야 농악
참여단체 가루뱅이농악보존회
수상(단체상) 은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

종목소개

‘가루뱅이농악’은 마을과 개인의 풍농 및 가정의 기원을 목적으로 하는 두레풍물로, 대구광역시의 영산인 팔공산 기슭 용수동에서 전승되어오고 있다. 가루뱅이농악의 전승 지역인 용수동에는 ‘지정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이 절 밑에는 깊은 동굴이 있었고, 그 동굴 속에 용이 살았다고 한다. 굴 앞에는 용이 먹는 용수가 있어, 이 물을 먹고 용이 하늘로 승천해 이 지역을 용천동이라 불렀으며, 지금도 굴의 흔적과 절터의 흔적이 남아 있다. 용수동의 지명은 행정구역 통폐합 때 용천동과 수대동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며, 약 100여 년 전부터 칡넝쿨이 많다는 의미로 ‘갈방’으로도 불렀는데, 이것이 변해 지금의 가루뱅이가 되었다. 구전에 의하면 가루뱅이농악은 이 마을을 개척한 배 씨와 구 씨가 마을 입구에 나무를 심고 제사(동제)를 지내기 시작한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농악의 장단은 대부분 자진모리와 휘모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농사를 짓는 형상의 농사굿과 싸움굿, 빠르게 돌아가는 연풍굿과 다드래기가 경상도 특유의 덧배기・굿거리・휘모리・호호딱딱 장단 등과 어우러져 농악을 이룬다. 장단 중에는 특히 농악대가 이동할 때 길을 가며 치는 길매구 장단과, 흥겹게 춤을 출 수 있는 길살풀이장단이 특이하다. 다른 지역보다 북의 크기가 크고 소리가 웅장한 것이 특징이며, 검은 수술이 달린 영기 또한 가루뱅이농악의 빼놓을 수 없는 상징이다.

모든 풍물꾼들이 무리 지어 신명 나게 펼치는 놀이와 뛰어난 개인 기량을 뽐내는 놀이의 형태가 잘 어우러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과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모임굿: 풍물악기 연주. 공연장 밖에서 장단 연주

  2. 입장과 인사: 풍물악기 연주. 공연장으로 입장해 원진에서 인사

  3. 물밀굿: 풍물악기 연주. 원진을 돌며 연행

  4. 연풍굿: 풍물악기 연주. 원진에서 돌고 앉고 넘기 연행

  5. 싸움굿: 풍물악기 연주. 11자진에서 미지기, 가세치기 연행

  6. 쌍진굿: 풍물악기 연주. 두 줄이 각각 멍석말이진 연행

  7. 길살풀이: 풍물악기 연주. 멍석말이진 풀어 원진 만들기 연행

  8. 호호굿: 풍물악기 연주. 원진을 돌기 연행

  9. 벅구놀이: 풍물악기 연주. 원진에서 채상소고놀이 연행

  10. 굿거리: 풍물악기 연주. 원진을 돌기 연행

  11. 십자진: 풍물악기 연주. 십자진을 만들어 연행

  12. 오방진: 풍물악기 연주. 5개의 원진을 만들어 연행

  13. 악기놀이: 풍물악기 연주. 꽹과리, 북, 장구, 소고 놀이 연행

  14. 멍석말이: 풍물악기 연주. 멍석말이진 만들고 풀기 연행

  15. 인사와 퇴장: 풍물악기 연주. 인사 후 퇴장

    가루뱅이농악은 두레풍물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매우 발달한 장단과 벅구놀이가 큰 특징이다. 두레농악에서 유래한 가루뱅이농악이 오늘날과 같이 다양하고 뛰어난 놀이 형태를 갖추게 된 지리적・예능적 영향 관계를 정리하면, 대구지역 농악은 물론 경북농악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