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정읍농악 판굿과 일광놀이(2017,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정읍농악보존회 |
수상(단체상) | 동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
종목소개
호남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 가운데 전라 서부·서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달리 ‘우도농악’이라 일컫는다. 정읍은 우도농악의 주요 전승지로, 역사에서도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특히 1910년대 ‘600만 교도’를 자랑하던 당시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의 보천교에서는 이 농악을 종교의례 양식으로 채용함으로써 매우 중요한 전승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정읍농악은 다른 지역 농악보다 그 내용이나 형식이 고도로 발달해, 예술성이 뛰어나다. 정읍농악이 기악 연주를 중심으로 하면서, 악[樂], 가[歌], 무[舞], 희[戱]가 골고루 조화를 이루고, 치배 구성면에서 장구가 크게 발달했다는 점, 집단놀이뿐만 아니라 각 치배가 높은 예능 실력을 자랑하는 ‘개인놀이’로 발달한 점을 자랑으로 삼는다. ‘정읍농악 판굿과 일광놀이’는 잊혀가던 일광놀이를 복원·재현한 작품으로, 얼림굿, 오채질굿, 오방진굿, 호허굿, 일광놀이, 개인놀이 순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정읍농악의 판굿은 화려한 부포놀이와 개인놀이 중 장구놀이가 백미라 할 수 있다.
정읍농악 문굿과 판굿의 연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얼림굿 굿의 일구는 과정으로, 상쇠를 기준으로 마주 보고 횡대로 서서 청령소리굿으로 시작해, 이채, 이루삼채, 넘기는 가락, 이채 순으로 진행한다.
오채질굿 우도농악의 대표 가락으로 꼽을 수 있는 오채질굿을 시작으로 풍년굿, 늦은삼채, 삼채, 연풍대, 매도지 순으로 진행한다.
오방진굿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 순으로 멍석말이진법을 진행한다. 경연 시에는 시간상의 제약으로 중앙에서 한 번만 진행한다.
호허굿 일종의 점호굿 형식으로, 전쟁 중 또는 전쟁 후 아군의 피해 상황을 조사·확인하는 과정을 농악으로 묘사한 진법이다. 상쇠의 난타로 시작해 호호굿머리, 호호굿, 본 장단, 자진 호호굿으로 이루어져 있다. 호호굿은 세 개의 겹원 상태에서 작은 겹원을 만들며 상쇠의 난타로 시작한다. 장단 뒤에 ‘호호’ 하는 구음을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호호굿머리, 호호굿, 본 장단, 자진호호굿으로 구성된다. 호호굿을 치며 작은 겹원을 풀고 큰 원으로 진을 다시 구성한다.
일광놀이 쇠는 태양을 상징하며, 태양의 소멸과 부활을 핵심 주제로 형상화한 놀이다.
개인놀이 채상소고, 쇠놀이, 장구놀이, 열두발상모놀이 순으로 진행한다. 악기별 놀이꾼들이 나와 재주를 뽐내는 과정으로, 특히 쇠놀이와 장구놀이는 정읍농악(호남우도농악)의 백미로 손꼽힌다.
정읍농악은 가락의 다양성과 진법의 화려함으로 일찍부터 관심을 받아 호남의 대표 우도농악으로 자리 잡았고, 그에 따라 명성을 얻은 연희자도 다양하다. 1996년 전라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되면서 전통 가락이 가진 가치를 인정받았다. 정읍농악은 단순한 하나의 농악이 아니라 역사적 의미와 시대성을 반영한 지역 농악으로서 그 가치를 보존·전승하려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정읍농악 (1996.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