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담양농악 풍장놀이(2017,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전라남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우도농악담양보존회 |
수상(단체상) | 장려상 (김해시장상) |
종목소개
‘담양농악 풍장놀이’는 평야 지역에서 발달한 우도농악의 특징을 잘 담고 있는 농악이다. 넓은 농경지에 옥토를 가진 담양에서 이웃과 이웃의 농군이 함께 모여 농악을 치던 전통적인 형태를 간직해왔다. 농사철에 품앗이하며 농사의 고단함과 피로를 덜고, 노동력을 높이기 위한 농부들의 공동체 의식이 반영된 전통 민속놀이다.
담양 우도농악은 물품기(드래질소리), 모판밟기(오위소리, 자진오위소리), 모찌기(먼들소리), 모심기(상사소리), 초벌매기(애리사소리, 지화자소리), 한벌매기(오호소리, 떨아지소리), 만드리(사뒤여소리), 장원질(저리서 소리, 방개둥개소리), 아롱대롱(아롱소리)로 구성된다. 또한 우도농악담양보존회에서는 기초판굿을 모듬굿, 오채질굿, 오방진(동살푸리), 구정놀이, 호허굿, 개인놀이, 파장굿 등 총 7개 과정으로 정리하고 있다. 담양농악은 초벌매기, 한 벌매기, 만드리가 끝날 무렵, 사람들이 논 한구석으로 모여 서로 “위” 하고 소리치면서 그해 농사를 장원한 농군에게 흙탕물을 던지며 장난을 하다가, 논두렁에 나와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장원질 소리와 풍장굿을 치며 마을에 돌아오면, 집주인과 마을 주민들이 한데 어울려 신나고 흥겨운 큰 판을 이룬 대동 풍장놀이로 전해져왔다.
실현한 담양농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물품기 입장. 인사. 드래질소리에 맞춰 물품기
모찌기 풍장굿장단에 먼들소리 모찌기
모심기 풍장굿장단에 상사소리에 맞춰 모심기
초벌매기 풍장 장단에 애리사소리, 지화자소리에 맞춰 초벌매기
한 벌매기, 만드리 풍장을 치며 오호소리, 떨아지소리, 사뒤여소리에 맞춰 한벌매기, 만드리. 농군들이 장난치고 놀며 소에 상머슴을 태운다.
장원질 풍장굿장단에 저리서소리, 방개둥개소리에 맞춰 상머슴이 소를 타고 마을로 들어간다.
대동 풍장놀이 풍장굿장단과 아롱소리에 농군들과 마중 나온 마을 주민들이 함께 큰 판을 이뤄 개인 기량을 뽐내면서 흥겹고 신나게 한바탕 논다.
담양농악은 일찍이 전라남도의 우도농악으로 그 명성을 이어왔으며, 지속적인 보존회 활동을 통해 그 전통적인 면모를 잘 유지하고 있다. 김동언 보유자를 중심으로 젊은 연행자들을 통해 전승·보존을 이어가고 있다. 이 작품이 전통적인 우도농악, 특히 두레농악의 특성을 잘 갖추고 있는 것은 담양농악의 중요한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잘 드러내는 것이 ‘장원질’이라 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우도농악 (1987.08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