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정월대보름놀이(2017,함경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함경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함남북청민속예술보존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김해시장상)

종목소개

‘토성 정월대보름놀이’는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읍 토성리에서 전래한 것으로, 정월대보름 2~3일 전에 신청과 도청 한복판에서 펼쳐지던 민속놀이를 무대에 올린 것이다. 참고로 정월대보름은 새해 들어 처음 맞이하는 보름날로서, 농사의 시작일이기도 해 큰 명절로 여겼다. 토성 정월대보름놀이는 사자놀이, 돈돌날이, 횃불싸움 등을 핵심으로 한다. 북청군 내 대부분 지역에서는 대보름에 사자놀이 중심으로 놀았던 반면, 토성리에서는 돈돌날이와 횃불싸움도 함께 중요한 놀이 과정으로 여겼다. 토성리 사람들은 정월대보름 전날에 돈돌날이와 사자놀이를 연행하지 않으면 마을 사람들이 전염병이 들어 죽는다는 속설을 강하게 믿는 등 벽사의식이 강한 민속놀이라 사람들이 대거 참여해 대동놀이이자 축제로 전승되었다.

토성 정월대보름놀이는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돈돌날이, 횃불싸움, 두상, 노장마당, 군무 순으로 진행되었다. 정월 초, 신청[神廳]에서 정월대보름놀이 준비로 음률도감과 존위(마을에서 가장 연장자이자 촌수가 높은 사람)를 비롯한 소수만이 참여한 가운데 고사를 거행했다. 고사를 지낼 때는 돼지를 잡고 고기를 삶은 물에 쌀로 죽을 쒀 그릇에 담아 정지(부엌), 굴뚝, 장독간에 올려놓는다. 고사를 마치고 마을 청년들이 신청 대문 앞에 묶어 두었던 새끼줄과 소나무를 풀고 퉁소와 북을 치며 잡귀와 재앙을 쫓고 흥겹게 놀이를 하며, 마을 사람들은 준비한 삶은 팥과 강낭콩을 나눠 먹으며 놀이를 즐겼다고 전한다. 정월대보름 고사를 지내고 난 후, 마을 부녀자들은 집에서 함지, 바가지, 자배기, 놋그릇과 같은 북을 가지고 나와 돈돌날이 민요를 부른다. 북을 치는 부녀자가 중심이 되어 놀이를 이끌고, 흥이 난 부녀자들은 함지에 물을 붓고 바가지를 띄워 북과 비슷한 장단으로 연주한다. 민요와 장단에 흥이 오른 부녀자들은 원진을 만들어 춤을 추고, 원진 안에 들어가 신명 나는 놀이판을 벌였다.

사자놀이는 총 4마당으로 구성되었다.

제1마당 마을에 진사, 노덕(벼슬아치 부인)이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가옥에서 손주와 며느리를 대동해 사자놀이를 초청하고, 벽사진경과 안과태평을 기원하는 매귀의식(지신밟기)을 거행했다.

제2마당 진사가 손주를 사자에 태우고 어린아이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제3마당 김진사 댁의 내력을 소개한 후 사자놀이를 초청하고 사자놀이를 진행했다.

제4마당 사자가 부엌에 들어가 춤사위를 펼치다 바가지를 가지고 중문으로 나와 액운을 쫓으려고 바가지를 깨뜨리는 장면이 진행되었다. 또한 어린아이를 사자에 태워 수명장수를 기원하고, 집집이 돌아다니며 잡귀를 쫓고 복록을 기원하는 놀이를 하고 와서 귀밝이술을 얻어먹으며 초복재화를 벌이는 대동놀이를 했다.

함경남도의 민속놀이를 적극적으로 전승하고자 토성리에 전래하던 정월대보름놀이를 경연작으로 내세운 것에 큰 의의가 있다. 한식날 행해지던 여성들의 놀이인 ‘돈돌날이’와 남성들의 ‘횃불싸움’을 결합했을 뿐 아니라, 더불어 북청군 지역의 전형인 ‘사자놀이’까지 함께 했다는 것으로, 마을 주민 모두 적극적으로 정월대보름을 기리고 즐겼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