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걸립농악(2017,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한국민속예술협회공주지부 공주시걸립농악보존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김해시장상)

종목소개

웃다리농악은 우리나라 중부에 해당하는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일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 용어다. 대전·공주 지역의 웃다리농악은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악이라 할 수 있다. 공주걸립농악은 계룡산을 중심으로 산재한 갑사, 신원사, 마곡사 등에서 불사를 일으키면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국가의 척불숭유정책으로 재정이 궁핍했던 절에서 불사를 위해 승려들이 꽹과리, 징, 북을 치며 가가호호 방문해 모금하던 것이 민간에 전파되어, 마을에서도 공동사업이 있을 때마다 걸립농악을 치며 모금을 했다. 공주 지역에서는 유구한 세월 동안 걸립농악이 전승되어왔다. 1940년대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으로 한때 중단되기도 했으나, 해방 후 김복섭 선생이 다시 걸립농악을 계승했다.

공주걸립농악의 순서는 당산굿을 시작으로, 우물굿, 문굿, 성주굿, 뒤굿, 칠채오방진, 절굿대놀이, 개인놀이(버나, 땅재주, 무동놀이, 열두발), 멍석말이, 인사굿으로 이어지며, 이렇게 화를 쫓고 복을 부르는 의례를 행한 뒤 그 집에서 마련한 고사상의 제물을 받아온다. 제물로 고사상에 얹어놓은 쌀과 돈은 걸립패의 공금으로 쓰인다. 공주걸립농악의 진행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산굿 걸립농악단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풍장으로, 마을 입구에서 당산나무에 절을 올리고 마을로 들어가는 의식이다. 흔한 삼채가락으로 세마치 풍장을 치고, 잦은마치로 맺고 절을 한다.

  2. 우물굿 마을의 안녕과 우물이 마르지 않고 깨끗한 물만 나오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상쇠의 축원과 함께 운율에 맞춰 단마치 풍장을 치는데, 몰이가락 등으로 불린다. “뚜르세 뚜르세 물구녁을 뚜르세” 하는 식의 짧은 축원소리를 하고 난 후 치는 가락이다.

  3. 문굿 대문 앞에서 치는 풍장으로, 상쇠의 덕담과 함께 걸립패들이 “문여소 문여소 주인주인 문여소” 하고 주인을 부르며 단마치 풍장을 친다.

  4. 성주굿(축원고사덕담) 집안의 안녕과 만복을 기원하는 고사를 지내는 의식이다. 이때 다드래기 풍장을 치는데, 이는 마당에서 성주 축원을 할 때 축원소리 반주로 치는 풍장이다. 삼채로 시작해 굿거리를 섞기도 하며, 소리가 끝나면 잦은마치로 맺는데, 굿거리를 낮게 치며 가락을 다스려 친다고 해 ‘다드래기 풍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5. 뒤굿(뒷굿, 칠채) 뒤굿은 고사를 지낸 후 걸립패가 마당에서 농악을 치고 재주를 부리며 한바탕 노는 굿으로, 판굿놀이가 이어진다. 칠채(길군악)는 상쇠의 칠채 머리가락에 따라 전 대원이 칠채를 치며, 이채가락으로 끝낸다. 나올 때는 당산놀이로 연결한다.

  6. 당산놀이 당산대형에서 상쇠의 가락에 맞춰 벅구잽이들과 꽃나비(피조리)들을 놀린다. 이때 벅구잽이들은 농사를 짖는 과정을 상모를 돌리며 다양한 형태의 놀이를 하는데, 밭갈이, 씨뿌리기, 김매기, 볏짚나르기, 탈곡하기 등을 하고, 꽃나비들은 깨끼춤을 추며 고사리 꺾기, 물푸기 등의 놀이를 한다. 이때 세마치(삼채)가락, 잦은 세마치가락, 물풍딩이가락, 잦은마치 가락을 주로 친다.

  7. 개인놀이 농악대가 갖은 재주를 보여주는 놀이판으로, 벅구놀이, 쇠놀이, 버나놀이, 꽃나비 무딩이[舞童] 놀이, 땅재주놀이, 열두발상모놀이를 진행한다.

  8. 돌림벅구 풍장판 전형의 멍석말이로, 칠채 길군악가락과 벙어리칠채가락, 칠채몰이가락을 치면서 놀다가 맺고, 세마치(삼채)가락을 치면서 쇠잽이들이 가락을 주고받으며 품앗이 가락을 치고, 잦은 세마치(빠른삼채)와 잦은마치 가락을 치고 맺는다.

    공주걸립농악은 충청도의 대표 농악으로, 현재 한국문화예술협회 공주지부에서 시·동·면민이 합심해 전승하고 있다. 특히 공주생명과고등학교가 공주걸립농악 전승에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이처럼 걸립농악의 전형이 지역 주민들에 의해 유지되므로 그 전승력이 크다고 하겠다. 공주걸립농악은 지속해서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면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