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광주산월농악(2018,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9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5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굿마당남도문화연구회 |
수상(단체상) | 장려상 (서귀포시장상) |
종목소개
광주산월농악은 낟가릿대 세우기가 그중심에 있다는 특징이 있다. 산월동에는 정월대보름 당산제와 당산굿을 연행할 때 당산 앞에 낟가릿대를 세우고, 마당밟이를 할 때도 낟가릿대를 들고 다니며, 판굿을 할 때도 세워놓는 전통이 있다. 산월동의 농악을 조사한 이현옥의 증언에 따르면, 산월동에서는 낟가릿대를 세워놓고 천황씨·지황씨·인황씨 등을 언급하며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은 동쪽으로 영산강이 자리하고, 서편으로는 삼각산(높이 98.6m)이 위치한 배산임수형 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포산[浦山], 월봉[月俸], 봉산[鳳山] 등이 있고 1990년대 초까지 전체 300여 호에 이르는 큰 마을이었다. 1990년대 초반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전까지 해마다 정월대보름 당산제와 당산굿을 하고, 가가호호를 방문하는 마당밟이를 했으며, 2월 초하루에는 새끼줄을 채찍처럼 만들어 소리를 내는 뙤기치기(새 쫓기)를 했다. 산월농악은 정월대보름 당산굿을 시작으로 10일~15일에 걸쳐 마당밟이를 하고, 저녁마다 마당밟이하는 집에서 판굿을 연행하던 전통에서 유래했다.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당산굿과 마당밟이의 절차만 기억하고 판굿의 구체적 연행순서는 기억하지 못하지만, 호남우도농악의 상쇠로 이름난 최화집, 송광쇠 등이 활동한 점으로 미루어보아, 판굿의 형태는 우도농악의 전형을 따르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현재의 산월농악은 예술단체 ‘굿마당’에서 광산구 지역의 민속예능 발굴·재현을 위해 인근 주민들을 만나 면담하는 등 조사 과정을 거친 후, 낟가릿대를 세우고 진행하는 당산굿과, 마당밟이에서 행하는 판굿을 재현한 것이다. 이에 산월농악을 당산굿, 오채굿, 오방진 및 구정놀이, 허허굿 및 지신매기, 콩등지기, 개인놀이 등 총 여섯 마당으로 정리했다.
굿마당남도문화연구회에서 실연한 산월농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준비 및 입장 벼가릿대, 지개꾼, 아낙, 종목기, 농자기, 영기, 대포수, 양반, 참봉, 조리중, 할미, 색씨, 비리쇠, 홍작삼을 든 조와 태평소, 쇠, 징, 장구, 북, 소고 등의 치배로 나눠 입장한다. 뙈기치기가 먼저 입장하고, 2명이 번갈아 딱·딱·딱·딱 친다. 상쇠는 일채가락을 내어 털어준다. 상쇠가 칠채가락으로 시작하고, 치배와 잡색이 장단에 맞춰 동시에 입장한다. 한 무리가 벼가릿대 앞에 제상을 준비하고 재물을 올리면, 대포수가 초헌관으로서 먼저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향에 돌린 후 모사에 술을 붓고 이배 절을 한 후 강신례를 마친다. 풍물패는 칠채가락에서 달팽이로 말 때 가락을 몰아 맺고, 바로 진굿 가락을 내어 제상 앞에서 3회에 걸쳐 덕석몰이를 한 후에 제단 앞에 줄을 맞춰 선다.
당산제 집례는 홀기 순으로 진행한다. 제를 마치면 상쇠가 “여보게 치배들~ / 예~ / 오늘은 정월 열나흗날 새해 첫 보름을 맞이해 천황씨 지황씨 신농씨 신령님들께 올해 농사가 풍작을 이뤄 주십사 축원 드리면서 신나게 농악놀이나 한번 해 보세~ / 오 그러세~”라고 한 후에, 휘모리 일채, 이채, 삼채, 휘모리 털고 제상 앞에서 인사를 올린 후에 제상을 모두 철상한다.
질굿마당 상쇠는 오채굿 가락을 생략하고 된오채굿을 치면 반시계방향으로 원진을 만들면서 시작한다. 질굿마당은 된오채질굿, 잦은일채굿(풍류굿), 세마치굿, 벙어리삼채굿, 벙어리일채굿, 된삼채굿, 음매깽 순으로 진행한다.
오방진 상쇠가 오방진 가락을 낸다. 진오방진으로 바꾼 후 반시계방향으로 뛰면서 상쇠가 자진오방진으로 바뀌면 연풍대로 돌면서 덕석몰이를 한다.
호허굿 열두마치, 호허굿, 좌우진퇴 연봉놀이, 김매기, 마당밟기 순으로 진행한다. ● 열두마치: 상쇠가 장구 앞에서 치고, 치배는 앉아서 일채를 치다가 열두마치를 3회 반복한다. ● 호허굿: 쇠꾼은 원래 자리로 돌아와 반시계방향으로 원진하면서 호허굿을 친다. ● 좌우진퇴 연봉놀이: 우측, 좌측, 전진, 제자리 중앙, 뒤로 한 장단에 한 걸음씩 이동한다. ● 김매기: 앉아서 1보씩 움직인다. ● 마당밞기: 허리를 숙이고 가락에 맞춰 4보씩 움직인다.
콩꺽자(용틀임) 및 두줄배기 쇠가 시작 가락을 치면 치배들은 한가운데를 보고 앉아 있는다. ● 상쇠가 “콩꺽자 콩꺽자 두룩 넘어 콩꺽자” 외치면서 지나가면, 치배들은 일어서 따라가면서 용틀임을 한다. ● 두줄배기: 두줄배기를 만든 후 가위치기를 하고, 삼채가락을 내며, ‘ㄷ’자 대형을 만든 후 재넘기기 휘모리로 맺음한다.
개인놀이 쇠가 발림가락을 내면서 잡색들을 불러래는 잡색놀이로 시작한 후, 소고놀이, 북놀이, 쇠놀이, 설장구놀이 순으로 진행한다.
퇴장 휘모리로 인사한다.
산월농악은 낟가릿대를 세우고 풍농을 기원하는 의례적 면모를 담고 있으므로, 농악의 주술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특히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 이르는 볏가릿대 풍속의 전통을 간직하고 있어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산월농악의 전통적인 면모를 굿마당에서 진행해 복원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산월농악의 면모를 지속적인 고증.·복원을 통해 더욱 전통을 살린 모습으로 정립하기를 기대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