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동래고무(2021청소년,부산시)
종목 개요
- 비경연대회
종목소개
우아하면서도 다채롭게
부산 동래구는 예로부터 항구에 인접해 각종 물자와 사신이 드나드는 풍요의 중심이었다. 조선 시대 최대 관문이었던 이곳에 사신을 대접하는 동래교방이 있었고, 이를 중심으로 풍류와 가무가 꽃을 피웠다. 동래고무는 원래 고려 전기 궁중악을 관장했던 교방청敎坊廳의 기생들이 추던 춤이었으나, 조선 시대 때 동래감영의 교방으로 전해지면서 지역 특성에 따라 동래고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
기원을 거슬러 『고려사』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충렬왕 때 이혼이라는 양반이 바다로 떠내려오는 뗏목을 주워 북을 만들었는데, 그 북소리가 굉장하여 사람들이 북을 치며 춤을 추었다”고 한 데서 시작된 것으로 분다. 이때 무고는 “한 쌍의 나비가 꽃을 감아 도는 것 같고, 두 마리 용이 용맹스럽게 여의주를 다투는 것 같다”고 묘사돼 있다.
그러나 1905년 지방 감영이 폐지되자 교방청도 자연스럽게 해산되었다. 1915년 기생들이 기녀조합을 형성하고 1920년 전후 동래권번과 봉래권번이 창설되면서, 이때 동래관아에서 추던 동래고무와 검무 등이 다시 전래되었다. 광복 직후까지 가끔씩 이어지던 고무도 권번의 폐지와 함께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였는데, 1984년 당시 동래권번 마지막 출신의 고증을 받아 발굴 작업이 시작된 후 다시 전수되고 있다.
동래고무는 장단의 변화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중앙에 큰북을 놓고 4명의 무원과 함께 군무를 이루어 8고무를 형성해 진행한다. 대표적 춤사위는 머리사위·뿌림사위·맞춤사위·옆실이·팔수사위·북춤사위·팔자사위 등이다. 섬세하면서 단아하고 단조롭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변화를 더하며 화려하게 피어난다. 이는 궁중 정재의 특성과 동래의 향토적 성격을 모두 갖추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절제미를 통한 우아한 품격은 궁중 정재의 엄격한 규칙에, 자유분방하면서도 화려한 기운은 동래 특유의 활기찬 흥에서 유래했다.
춤의 곡조는 영산회상 중 잔영산·염불·도드리·자진타령·타령·군악 순으로 진행되며 피리와 해금·장구·대금·북으로 연주한다. 궁중음악인 향당교주와 민속음악인 삼현육각, 가창인 지화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 복식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데 원무는 궁중 복식, 협무는 평복을 입고 진행한다. 원무와 협무의 적절한 춤사위 조화는 궁중 정재의 기본 사상인 음양오행을 표상화한 것으로 본다.
동래고무는 느린 춤동작에서 빠른 춤동작으로 진행되는 상승구조를 나타내는 춤이다. 북을 중앙에 두고 원무가 사방에서 추는 오행작대를 기본 패턴으로, 주로 좌선으로 이동하면서 원무와 협무가 서로 교차하는 복합적인 춤길을 나타낸다. 세령산의 장단에 맞추어 등장하는 모습도 인상적이지만 동래고무의 절정부에서 원무의 북 치는 소리와 협무의 “지화자” 소리가 어우러져 화려한 나비떼를 보는 듯 어우러지는 장면은 동래고무의 화려함이 만개하는 결정적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주요 장면 구성
- 등장태 무원이 염수하여 등장하여, 상대무와 상배무, 평사위, 어깨 맞이 등의 춤사위를 행한다.
- 원무 잔영산·염불·도드리 등의 장단에 맞추어 북을 가운데 두고 춤사위를 펼친다.
- 원무/협무 창사(지화자)·자진타령·타령 등으로 원무와 협무가 어우러져 춤 사위의 절정을 이루며, 마치 함박꽃이 활짝 피어나는 듯한 모습을 연출한다.
민속 현장에서
“동래고무는 고려 초기 궁중 여악을 관장했던 교방청 여기들에 의해 연행되던 무고가 그 원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 동래관아의 교방으로 전해져 관아에 예속된 기녀들에 의해 연례무로 연행되던 춤이지요. 북을 가운데에 두고 두드리며 추는 춤으로 원무와 협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단으로 세령산·염불·도드리·지화자·자진타령·타령으로 이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부산예술고등학교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동래고무를 전통 그대로 보존 전승하는 의무와 책임이 있는 전승학교로서, 춤을 구성하는 몸짓과 장면 어느 것도 소홀히 변이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번 무대 연출에서도 기존 하나의 북을 두고 춤을 춘 것을 두 개의 북을 두고 무용수를 4명씩 더하여 무대를 구성했습니다. 이로서 동래고무의 춤사위는 그대로 남기고 충만함과 화려함을 더하여 볼거리를 풍성하게 했습니다. 동래고무가 전국에서 열리는 민속예술제에 참여한 적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국민속예술제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두고 있는데요. 이번 무대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과 동래고무를 나눌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라며, 이 순간을 계기로 함께 만들고 영원히 바라지 않을 추억 하나를 가슴에 새길 수 있다는 사실에 무척이나 설레고 행복합니다.” ⟶ 이은영(부산예술고등학교 무용부장)
문화재 지정 현황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동래고무 (1993.12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제62회 한국민속예술제』 백서
- 발행일 : 2021년 12월 30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