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날뫼북춤(2023청소년,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대구시 |
분야 | 민속무용 |
참여인원 | 49명 |
참여단체 | 대평중학교 |
수상(단체상) | 우수상(문화재청장상) |
종목소개
종목명 해설
고양시 2022년,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특례시로 출범한 고양시는 우리 역사에서 지방행정제도에 따라 여러 변화를 겪어왔다. 현재 3개구, 44개 동으로 구성돼 광역시에 버금가는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국제 전시컨벤션이 가능한 공간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공존하는 도시다.
진밭두레농악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다. 일제 강점기 어려움을 딛고 1919년 독립만세운동을 계기로 부활했으며, 성석 진밭 두레패는 2005년 고양시 향토문화유적(무형문화유적)으로 지정됐다.
정보
지역 경기도 종목 농악 인원 45명 단체 정발초등학교 연합팀 지정 고양시 향토문화유적, 2005년
본문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한 고양시는 동쪽으로는 높은 산지가, 서쪽으로는 낮은 구릉과 하천 퇴적지인 곡저평야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산과 우암산을 이웃하고 서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니 사람이 터전을 잡고 살기에 이만한 곳이 없었을 테다. 또한 고양은 가장 오래전 농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지금으로부터 5020년 전, 서기 2000년경에 사람이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와지볍씨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국 최초의 재배벼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고양이 한반도 농경문화의 기원이며 한강문화권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해주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한반도 농사의 기원을 품고 있는 도시답게 이곳은 농경 사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도 풍부하게 발달했다. 그중에서도 진밭두레농악은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어 왔으며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고, 두레패가 농사일의 흥을 돋우기 위해 연행하던 농악이다. 두레는 농촌 사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자발적 공동체였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는 서로 돕고, 일손이 필요할 때는 함께 일하며, 마을의 질서를 깨뜨리거나 어지럽히는 일을 막았으며 마을마다 두레를 표시하는 깃발도 존재했다. 모내기에서 물대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까지 이르는 논농사 경작을 위한 모든 과정에 두레가 함께 일했으며, 특히 많은 인력이 합심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됐다. 물론 마을의 공동 잔치로 진행하는 풋굿이나 호미씻이와 같은 논농사 이후 놀이의 중심에도 두레가 있었다. 대체로 모내기나 추수를 마친 뒤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이 모여 음식과 술을 나누고, 농악에 맞추어 여러 연희를 곁들여 뛰고 놀면서 농사로 인한 노고를 잊고 결속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두레패와 마찬가지로 진밭두레 역시 조선 초기에서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침체를 겪었다. 당시 일제가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농촌의 농악과 두레를 금지시켰기 때문이다. 진밭마을은 1919년 기미독립만세운동 당시 농기에 태극기를 달고 참여하였고, 이후 진밭두레와 농악패를 재결성해 100년간 전통의 원형을 보존하며 명맥을 이어왔다. 오늘날 진밭두레 농악에는 옛 농경 공동체 생활 풍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산신에게 제를 지내는 산제사에서부터 농사소리, 농사놀이, 상여소리, 회 다지소리, 지경소리, 대보름 쥐불놀이, 농악놀이까지 한 당시 지역민들의 생활문화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다. 진밭두레패는 변주가락을 다양하게 구사하는 일반적인 연희 농악과 다르게 기본 가락에 충실하면서도 장단마다 끊어치며 만들어내는 웅장함이 일품이다. 다른 농악대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악기인 제금을 사용하며, 법고 수도 많다. 특히 농악패와 농사꾼이 진을 짜면서 연주와 놀이가 어우러지는 놀이 판제인 농사놀이에서 을(乙)자진, 원진, 멍석말이, 방울진, 십자진, 사각진(사통백이) 등 다양한 진법을 구사하여 놀이의 총체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과장 구성
- 길맞이 징이 울리면 두레패가 무대 중앙으로 들어가고, 농악패와 자진가락을 맺는다. 이후 삼채장단으로 기수단·농부·잡색이 큰 원 안에, 농악대는 바깥에 중앙을 바라보고 선다.
- 길놀이굿 상쇠가 안으로 들어가며 멍석말이를 시작한다. 농부는 소고잽이 꼬리를 물고 따라 돌며, 멍석말이를 풀어 큰 원이 만들어지면 농부와 소고가 중앙으로 들어가 논다.
- 제1당산놀이 악기와 소고가 좌우로 벌려 상쇠를 보고 마주서고, 농부는 기수단 앞에 횡대로 섰다가 쓰레질 놀이와 논뚝 다지기를 한다.
- 사방치기와 네줄백이 당산놀이가 끝나면 큰 원을 만들어 사방치기로 전환한다. 두레패와 농악패가 두 개의 원을 만들어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연희하다가, 다시 자진가락과 삼채장단에 맞춰 네줄백이로 전환한다.
- 제2당산놀이 농부가 앞 뒤 좌우로 뒷걸음질하며 콩을 심고 풀을 베며 농사 놀이를 하고, 소고는 양상치기 후 제자리로 전환, 장단을 내주면 양 절구놀이 대형으로 전환하여 연희한다.
- 사통백이와 방울진 사방원진을 풀어 큰 원을 그린다. 원을 돌며 농부는 바깥쪽, 소고는 안쪽으로 교차하여 이동한다. 농부는 자리를 잡고 춤추며 놀고 소고는 마주보고 벅구놀이로 받는다.### 본문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은 ‘날뫼(날아온 산)’라는 뜻의 한자어 ‘비산’에서 유래했다. 날뫼의 원고개는 한양으로 이어지는 대구의 관도다. 어느 날 이 고을에 부임하던 원님이 이곳에서 행차를 쉬어 갔는데, 당시 마을 백성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원님을 맞이했다고 한 데서 날뫼북춤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유래로는, 어진 목민관이 정사를 돌보다 이곳에서 순직해 백성들이 그 혼을 위로하기 위해 북을 울리며 춤을 췄다는 설도 전해진다.
날뫼북춤은 비산농악에 뿌리를 두고 발달한 민속무용으로 본다. 그래서 비산농악이 가진 군사굿의 특징이 북춤에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춤사위는 경상도 특유의 덧배기춤을 닮았고, 전체 구성은 독무와 군무가 어우러지며 화합과 단결을 돋보이도록 한다. 백색 바지저고리에 연두색 조끼를 걸치고 빨간 띠를 두른 날뫼북춤 연행자들의 모습은 어디서든 눈에 띈다.
성인 남성의 상반신 만한 북을 걸쳐 메고 솟아오르듯 뛰는 모습에서 경상도 특유의 기개를 엿볼 수 있다. 북춤은 전국에 산재한 민속무용인데,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발달했다. 경상도의 북춤은 집단무용적인 성격을 지니며, 군사굿의 유형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북춤이 농악에서 유래하거나 걸립에서 파생하는데, 날뫼북춤은 마을의 기원과 무용이 연결된 점이 독특하다. 그래서 특히 대구 지역에 전래하는 풍속과 지역적 정서를 잘 담고 있다.
특히 날뫼북춤에서는 덧배기춤을 주목해야 한다. 북을 왼쪽 허리에 갖다 댄 후 오른팔은 수평에 가깝게 들어 올려 힘을 빼고 느릿하게 장단을 타며 춤을 추는 동작이다. 굿거리장단에 맞춰 갈 지 자로 걷는 연행자들의 몸태에서 그 멋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0분 길이로 구성된 날뫼북춤에 서는 10개 넘는 과장이 1~2분 단위로 휙휙 변화한다. 신명 나고 화려한 북춤에 흠뻑 빠져보자.
과장 구성
정적궁이 : 정적궁이는 북춤 가락 중에서도 군사굿의 요소가 두드러진 장단이다. 씩씩한 춤사위와 간결하고 웅장한 북소리에서 남성적 기개를 뽐낸다.
반직굿 : 자반득이 또는 마당굿이라고도 한다. 쇠가락에 맞춰 연풍대와 북 넘기 같은 고난도의 묘기가 등장한다.
엎어빼기 :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북넘기와 앉고 서는 동작이 반복되는 장면이다.
다드래기 : 웅장하고 빠른 휘모리장단에 맞춰 연풍대가 돌아간다. 특히 발재간에 주목해 볼 만하다.
강강술래 : 모두가 원 바깥을 향해 서서 북을 치며 바깥을 향해 뛰기도 하고, 좌우로 돌며 강강술래 대형을 그린다.
허허굿 : 판을 질주하듯이 양발을 번갈아 뛰며 기상을 뽐낸다. “허허”라고 추임새를 넣으며 솟구쳐 뛴다.
오방진 : 동·서·남·북·중앙을 향해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 일사불란하게 이뤄지는 동작이 돋보인다.
모둠굿 : 두 개의 원을 만들어 모이고 흩어지며 대형을 만든다. 날뫼북춤의 진수라 할 수 있는 과장이다.
개인가락 : 외발 돌기, 북태 치기 등 개인 기량이 돋보이는 대목으로, 엇박으로 이뤄진 북가락의 백미를 선보인다.
살풀이 : 풍년을 기원하는 굿거리장단과 북소리에 맞춰 모든 연행자가 느릿하고 중후하게 어깨춤을 춘다.
개인놀이 : 뛰어난 기량을 자랑하는 소수의 북잽이가 나서 묘기를 펼친다.
덧배기 :
북잡이들의 어깨춤으로, 경상도 특유의 덧배기 놀이 가락을 몰아 치며 지역의 춤사위를 선보인다.## 문화재 지정 현황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1984년 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종목소개서 * 발행일 : 2023년 9월 22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