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촌상여소리(2024,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5회 한국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의례
참여인원 70명
참여단체 점촌상여소리보존회
수상(단체상) 우수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종목소개

본문

일생의 과정에서 반드시 행하게 되는 통과의례 가운데 하나가 상례와 제사다. 이는 지역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펼쳐져 왔는데, 상례에 포함된 여러 복잡한 절차는 저마다 특성을 지닌 채 전해 오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망자의 시신을 무덤까지 운반하고자 대개 상여를 이용했고, 상여를 메고 가는 상두꾼(동군)이 발을 맞추고 망자 가족들의 슬픔을 달래기 위해 여러 상엿소리를 해왔다. 요령을 흔들거나 북을 치며 앞소리를 메기는 사람을 ‘요령잡이’라 하고, 상여를 맨 이들은 뒷소리를 받는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소리와 과정이 전해지는데, 보통 발인하기 전날 밤 미리 모여 예행 연습을 하는 장부터, 장지에 도착해 하관한 후 덮은 흙을 다지는 달구소리까지 이어진다.

경상북도 문경시 점촌동은 정확한 연대와 유래를 알 수는 없으나 산기슭에 길게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긴마을’이라 불리던 것이 ‘진마을’로 전해졌다고 한다. 그러다 1829년경 옹기와 기와를 굽는 장인들이 많이 모여 점방이 늘어나고 상인의 왕래가 많아짐에 따라 ‘점마’, ‘점촌’ 등으로 불리며 지금의 이름인 ‘점촌’으로 정착했다. 이곳에는 넓은 평야가 있어 농업을 주로 삼아 삶을 영위했고, 마을 중심부를 가로질러 흐르는 모전천을 따라 낙동강까지 연결되는 넓은 곡창지대는 자랑이었다. 또 마을 뒤쪽으로는 산악 지역이 형성돼 있어 전통적으로 초상이 나면 매장을 택하곤 했다.

점촌 마을의 상례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치러졌다. 초상이 나면 상포계에서 등과 삼베 3필을 제공하고, 계원별로 모금해 장례를 준비했다. 망인의 집에서 초혼을 고하면 상포계 남성 계원 중 청년들은 장례 기간 사용할 소나무를 베러 산으로 출발한다. 중년들은 빈소를 차리고 돼지를 잡았으며, 노년들은 새끼를 꼬는 등 장례용품을 만들었다. 여성 계원들은 음식을 준비하고, 작은 방에 모여 고인과 상주가 입을 수의를 짓는 일을 시작했다.

이렇게 한 사람의 장례에 마을 전체가 함께하던 전통은 오늘날에 이르러 거의 사라졌다. 장례 절차가 간소화하고 매장보다는 화장을 선호하는 문화가 퍼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경 점촌동 사람들은 급속하게 사라지고 있는 장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2009년 양수봉 어르신을 중심으로 그 시절의 농악과 농요, 상엿소리와 연행을 발굴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이 마을의 전통 장례 풍습과 소리가 이어질 수 있던 것이다. 점촌 상여소리는 전체적으로 동부 민요의 특징인 메나리조의 특성이 강하며, 다른 지역에 없는 독특한 의식과 소리도 눈여겨볼 만하다.

과장 구성

하나. 초혼 : 마을의 동민이 사망하면 망인이 평소 입던 옷을 들고 지붕 위로 올라가 북서쪽을 향해 흔들며 죽음을 하늘에 고한다.

둘. 하직소리 : 발인 당일, 상주와 장례를 집도하는 이들이 관을 들고 상여까지 오는 과정. 밖에서 기다리던 동군들은 하직소리를 하며 망인을 모시고자 준비한다.

셋. 대더듬 : 발인 전날 밤 빈 상여를 메고 고인의 넋을 추모하며 상주와 절하는 것을 ‘대더듬(대도듬)’이라 한다. 동군들이 발을 맞춰 장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로를 줄이기 위해 사전 연습을 하는 것이며, 이 과정을 통해 장례 기간 고생한 상주와 모든 이들의 노고를 놀이로 승화하고자 한다.

넷. 삼신풀이 : 상여를 흔들어 관에 누워 있는 망인을 놀라게 하는 장. 어서 일어나 좋은 데로 환생하라는 염원을 담아 삼신할매에게 부탁드리는 의식이다. 이때 우렁차게 소리를 내 상여를 움직인다.

다섯. 출상(상주 가두기) : 상여가 대문을 나서면 상주들은 울기 마련이다. 이때 아들 형제 중 평소 말을 잘 듣지 않던 상주가 절을 하면 버릇을 고쳐야 한다며 상주를 상여 아래에 가두고 장난을 친다.

여섯. 동수나무 지나가기 : 마을 앞 동수나무와 이웃집 지붕, 산속 나뭇가지 등 상여 앙장보다 낮게 걸쳐진 장애물을 지나가는 과정이다.

일곱. 바위 지나가기 : 운상 중 바위와 장애물이 나타나면 이를 통과하기 위해 인력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여덟. 섶다리 건너기 : 먼 거리의 장지로 이동하는 과정에는 꼭 강이 흐르고 섶다리가 있기 마련이다. 동군들이 힘의 균형을 맞추며 다리를 건너간다.

아홉. 논두렁 건너기 : 논두렁을 밟은 동군은 어깨에서 줄을 벗어 반대편 동군과 상여 높이를 맞춰 이동한다.

열. 돌다리 건너기 : 작은 개울이나 습지를 지나가야 한다면 발인 하루 전 동군들이 미리 현장에 바위나 돌을 이용해 징검다리를 놓는다. 돌다리를 건너며 동군들은 발걸음을 맞추기 위해 소리를 한다.

열하나. 외나무다리 건너기 : 동군들의 단합과 균형을 보여주는 과정으로, 12명이 합심해 외나무다리를 건넌다.

열둘. 귀가소리 : 하관 시간을 맞춰야 하기에 동군들이 큰길에 도착하면 빠른소리와 걸음으로 상여를 옮긴다.

열셋. 달구소리 : 하관 후 봉분을 쌓으며 흙을 발로 다지는 소리로, 세 번 행한다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