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대장들소리(2023,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연희, 농요
참여인원 49명
참여단체 (사)성주들소리보존회
수상(단체상) 최우수상 (국무총리상)

종목소개

종목명 해설

고양시 2022년,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특례시로 출범한 고양시는 우리 역사에서 지방행정제도에 따라 여러 변화를 겪어왔다. 현재 3개구, 44개 동으로 구성돼 광역시에 버금가는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국제 전시컨벤션이 가능한 공간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공존하는 도시다.

진밭두레농악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다. 일제 강점기 어려움을 딛고 1919년 독립만세운동을 계기로 부활했으며, 성석 진밭 두레패는 2005년 고양시 향토문화유적(무형문화유적)으로 지정됐다.

정보

지역 경기도 종목 농악 인원 45명 단체 정발초등학교 연합팀 지정 고양시 향토문화유적, 2005년

본문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한 고양시는 동쪽으로는 높은 산지가, 서쪽으로는 낮은 구릉과 하천 퇴적지인 곡저평야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산과 우암산을 이웃하고 서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니 사람이 터전을 잡고 살기에 이만한 곳이 없었을 테다. 또한 고양은 가장 오래전 농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지금으로부터 5020년 전, 서기 2000년경에 사람이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와지볍씨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국 최초의 재배벼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고양이 한반도 농경문화의 기원이며 한강문화권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해주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한반도 농사의 기원을 품고 있는 도시답게 이곳은 농경 사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도 풍부하게 발달했다. 그중에서도 진밭두레농악은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어 왔으며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고, 두레패가 농사일의 흥을 돋우기 위해 연행하던 농악이다. 두레는 농촌 사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자발적 공동체였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는 서로 돕고, 일손이 필요할 때는 함께 일하며, 마을의 질서를 깨뜨리거나 어지럽히는 일을 막았으며 마을마다 두레를 표시하는 깃발도 존재했다. 모내기에서 물대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까지 이르는 논농사 경작을 위한 모든 과정에 두레가 함께 일했으며, 특히 많은 인력이 합심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됐다. 물론 마을의 공동 잔치로 진행하는 풋굿이나 호미씻이와 같은 논농사 이후 놀이의 중심에도 두레가 있었다. 대체로 모내기나 추수를 마친 뒤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이 모여 음식과 술을 나누고, 농악에 맞추어 여러 연희를 곁들여 뛰고 놀면서 농사로 인한 노고를 잊고 결속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두레패와 마찬가지로 진밭두레 역시 조선 초기에서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침체를 겪었다. 당시 일제가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농촌의 농악과 두레를 금지시켰기 때문이다. 진밭마을은 1919년 기미독립만세운동 당시 농기에 태극기를 달고 참여하였고, 이후 진밭두레와 농악패를 재결성해 100년간 전통의 원형을 보존하며 명맥을 이어왔다. 오늘날 진밭두레 농악에는 옛 농경 공동체 생활 풍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산신에게 제를 지내는 산제사에서부터 농사소리, 농사놀이, 상여소리, 회 다지소리, 지경소리, 대보름 쥐불놀이, 농악놀이까지 한 당시 지역민들의 생활문화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다. 진밭두레패는 변주가락을 다양하게 구사하는 일반적인 연희 농악과 다르게 기본 가락에 충실하면서도 장단마다 끊어치며 만들어내는 웅장함이 일품이다. 다른 농악대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악기인 제금을 사용하며, 법고 수도 많다. 특히 농악패와 농사꾼이 진을 짜면서 연주와 놀이가 어우러지는 놀이 판제인 농사놀이에서 을(乙)자진, 원진, 멍석말이, 방울진, 십자진, 사각진(사통백이) 등 다양한 진법을 구사하여 놀이의 총체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과장 구성

  1. 길맞이 징이 울리면 두레패가 무대 중앙으로 들어가고, 농악패와 자진가락을 맺는다. 이후 삼채장단으로 기수단·농부·잡색이 큰 원 안에, 농악대는 바깥에 중앙을 바라보고 선다.
  2. 길놀이굿 상쇠가 안으로 들어가며 멍석말이를 시작한다. 농부는 소고잽이 꼬리를 물고 따라 돌며, 멍석말이를 풀어 큰 원이 만들어지면 농부와 소고가 중앙으로 들어가 논다.
  3. 제1당산놀이 악기와 소고가 좌우로 벌려 상쇠를 보고 마주서고, 농부는 기수단 앞에 횡대로 섰다가 쓰레질 놀이와 논뚝 다지기를 한다.
  4. 사방치기와 네줄백이 당산놀이가 끝나면 큰 원을 만들어 사방치기로 전환한다. 두레패와 농악패가 두 개의 원을 만들어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연희하다가, 다시 자진가락과 삼채장단에 맞춰 네줄백이로 전환한다.
  5. 제2당산놀이 농부가 앞 뒤 좌우로 뒷걸음질하며 콩을 심고 풀을 베며 농사 놀이를 하고, 소고는 양상치기 후 제자리로 전환, 장단을 내주면 양 절구놀이 대형으로 전환하여 연희한다.
  6. 사통백이와 방울진 사방원진을 풀어 큰 원을 그린다. 원을 돌며 농부는 바깥쪽, 소고는 안쪽으로 교차하여 이동한다. 농부는 자리를 잡고 춤추며 놀고 소고는 마주보고 벅구놀이로 받는다.### 본문 경상북도 남서편에 위치한 성주군은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이 산지인 곳이다. 여러 산과 김천시 수도산에서 발원한 물줄기로 둘러싸여 있어 일부 평야를 제외하고는 분지를 이룬다. 넓은 들판은 성주군의 자랑으로 꼽히며, 벼농사와 함께 특용작물과 수박·참외 등 과수 재배가 발달했다.

성주 대장들소리는 성주군 10개 읍면 가운데 가장 북쪽에 있는 초전면에서 탄생했다. 비옥한 농지를 가지고 있어 농사소리와 들소리가 성행한 것으로 추정한다. 들소리·들노래는 말 그대로 논이나 밭에서 농사일하며 부르는 노동요다. 20세기 이후 농업이 기계화되면서 더 이상 농사소리가 불리지 않게 됐는데, 아마도 1950년대 참외 생산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성주군 곳곳에서 불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2009년, 지역의 농요를 되살리고자 하는 마음을 모아 성주가락찾기 사업이 진행돼 성주 대장들소리가 다시 빛을 보게 됐다.

첫 장면은 길놀이와 농신제로 시작한다. 그리고 보리타작소리-망깨소리-가래질소리-물푸는소리-모찌는소리-모심는소리-논매는소리-칭칭이소리 등 여덟 마당이 진행된다. 경상도 민요답게 메나리토리 선율을 기반으로 하며, “옹헤야” 하는 대표적인 받음구가 자주 등장한다. 농신제를 올린 뒤 시작하는 보리타작소리는 농군들이 마주 보고 서서 도리깨질로 타작을 하며 서로 박자를 맞춰 부르는 선창-후창이 특징적인 노래다. 이어 망깨소리에서는 “천근망깨는 공중에 놀고” 하는 사설로 시작해 “에이어라 차” 하는 후렴구로 받는 전형적인 경상도식 소리를 보여준다.

논을 매고 돌아오면서 부르는 장원질소리로 칭칭이소리가 전승되는 것도 독특한 부분이다. 칭칭이소리는 영남 지역의 대표적인 유희요인데, 주로 느린칭칭이로 시작해 빠른칭칭이로 마무리되나 성주 대장들소리에서는 느린칭칭이소리로만 부른다. 받는소리의 선율이 매우 화려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과장 구성

  1. 길놀이 : 기수와 악사·일꾼·아낙들이 대열하면, 나발을 세 번 불고 농기를 앞세우고 두레풍장을 치며 마당으로 등장한다.

  2. 농신제 : 농기를 중심으로 멍석말이를 진행한 뒤 자신의 위치에서 농기를 향해 세 번 절하고, 농신께 풍년을 기원한다.

  3. 보리타작소리 : 마당에 멍석을 깔고 보릿대를 펼친 뒤 도리깨질을 한다. “옹~헤야” 소리하며 흥을 돋운다.

  4. 망깨소리 : 나무로 만든 망깨를 들고나와 땅을 다지는 망깨질을 한다.

  5. 가래질소리 : 삽 양쪽에 줄을 달아 만든 가래를 들고 논을 고르며 가래질소리를 한다.

  6. 물푸는소리 : 논을 다 고르고 나면 물을 대기 위해 두레질을 한다.

  7. 모찌는소리 : 모판에 키운 모를 한 덩어리씩 쪄서 논 군데군데 가져다 두며 소리한다. 선소리와 후소리가 흥겹게 이어진다.

  8. 모심는소리 : 못줄을 따라 앞에서부터 뒤로 가며 모를 심는다. 마당에 모가 가득해지면 풍장으로 마무리한다.

  9. 논매는소리 : 모 사이사이 자라난 잡초를 뽑으며 논을 맨다.

  10. 칭칭이소리 : 논매기 후 풍장을 치는 사이 아낙들은 모를 걷고, 일꾼들은 올해의 상일꾼을 뽑는다. 뽑힌 사람을 괭이말에 태우고 기수-악사-괭이말-일꾼-아낙 순으로 따르며 마당을 크게 한 바퀴 돈다.

  11. 퇴장 :

길놀이하며 들어왔던 것처럼 자리로 돌아가 마무리하고 퇴장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성주군 향토문화유산 (2023년 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종목소개서 * 발행일 : 2023년 9월 22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