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평리고사걸립풍장(2023,세종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세종시
분야 민속놀이
참여인원 43명
참여단체 대평리고사걸립풍장보존회
수상(단체상) 전승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종목소개

종목명 해설

고양시 2022년,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특례시로 출범한 고양시는 우리 역사에서 지방행정제도에 따라 여러 변화를 겪어왔다. 현재 3개구, 44개 동으로 구성돼 광역시에 버금가는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국제 전시컨벤션이 가능한 공간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공존하는 도시다.

진밭두레농악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다. 일제 강점기 어려움을 딛고 1919년 독립만세운동을 계기로 부활했으며, 성석 진밭 두레패는 2005년 고양시 향토문화유적(무형문화유적)으로 지정됐다.

정보

지역 경기도 종목 농악 인원 45명 단체 정발초등학교 연합팀 지정 고양시 향토문화유적, 2005년

본문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한 고양시는 동쪽으로는 높은 산지가, 서쪽으로는 낮은 구릉과 하천 퇴적지인 곡저평야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산과 우암산을 이웃하고 서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니 사람이 터전을 잡고 살기에 이만한 곳이 없었을 테다. 또한 고양은 가장 오래전 농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지금으로부터 5020년 전, 서기 2000년경에 사람이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와지볍씨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국 최초의 재배벼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고양이 한반도 농경문화의 기원이며 한강문화권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해주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한반도 농사의 기원을 품고 있는 도시답게 이곳은 농경 사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도 풍부하게 발달했다. 그중에서도 진밭두레농악은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어 왔으며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고, 두레패가 농사일의 흥을 돋우기 위해 연행하던 농악이다. 두레는 농촌 사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자발적 공동체였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는 서로 돕고, 일손이 필요할 때는 함께 일하며, 마을의 질서를 깨뜨리거나 어지럽히는 일을 막았으며 마을마다 두레를 표시하는 깃발도 존재했다. 모내기에서 물대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까지 이르는 논농사 경작을 위한 모든 과정에 두레가 함께 일했으며, 특히 많은 인력이 합심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됐다. 물론 마을의 공동 잔치로 진행하는 풋굿이나 호미씻이와 같은 논농사 이후 놀이의 중심에도 두레가 있었다. 대체로 모내기나 추수를 마친 뒤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이 모여 음식과 술을 나누고, 농악에 맞추어 여러 연희를 곁들여 뛰고 놀면서 농사로 인한 노고를 잊고 결속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두레패와 마찬가지로 진밭두레 역시 조선 초기에서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침체를 겪었다. 당시 일제가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농촌의 농악과 두레를 금지시켰기 때문이다. 진밭마을은 1919년 기미독립만세운동 당시 농기에 태극기를 달고 참여하였고, 이후 진밭두레와 농악패를 재결성해 100년간 전통의 원형을 보존하며 명맥을 이어왔다. 오늘날 진밭두레 농악에는 옛 농경 공동체 생활 풍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산신에게 제를 지내는 산제사에서부터 농사소리, 농사놀이, 상여소리, 회 다지소리, 지경소리, 대보름 쥐불놀이, 농악놀이까지 한 당시 지역민들의 생활문화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다. 진밭두레패는 변주가락을 다양하게 구사하는 일반적인 연희 농악과 다르게 기본 가락에 충실하면서도 장단마다 끊어치며 만들어내는 웅장함이 일품이다. 다른 농악대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악기인 제금을 사용하며, 법고 수도 많다. 특히 농악패와 농사꾼이 진을 짜면서 연주와 놀이가 어우러지는 놀이 판제인 농사놀이에서 을(乙)자진, 원진, 멍석말이, 방울진, 십자진, 사각진(사통백이) 등 다양한 진법을 구사하여 놀이의 총체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과장 구성

  1. 길맞이 징이 울리면 두레패가 무대 중앙으로 들어가고, 농악패와 자진가락을 맺는다. 이후 삼채장단으로 기수단·농부·잡색이 큰 원 안에, 농악대는 바깥에 중앙을 바라보고 선다.
  2. 길놀이굿 상쇠가 안으로 들어가며 멍석말이를 시작한다. 농부는 소고잽이 꼬리를 물고 따라 돌며, 멍석말이를 풀어 큰 원이 만들어지면 농부와 소고가 중앙으로 들어가 논다.
  3. 제1당산놀이 악기와 소고가 좌우로 벌려 상쇠를 보고 마주서고, 농부는 기수단 앞에 횡대로 섰다가 쓰레질 놀이와 논뚝 다지기를 한다.
  4. 사방치기와 네줄백이 당산놀이가 끝나면 큰 원을 만들어 사방치기로 전환한다. 두레패와 농악패가 두 개의 원을 만들어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연희하다가, 다시 자진가락과 삼채장단에 맞춰 네줄백이로 전환한다.
  5. 제2당산놀이 농부가 앞 뒤 좌우로 뒷걸음질하며 콩을 심고 풀을 베며 농사 놀이를 하고, 소고는 양상치기 후 제자리로 전환, 장단을 내주면 양 절구놀이 대형으로 전환하여 연희한다.
  6. 사통백이와 방울진 사방원진을 풀어 큰 원을 그린다. 원을 돌며 농부는 바깥쪽, 소고는 안쪽으로 교차하여 이동한다. 농부는 자리를 잡고 춤추며 놀고 소고는 마주보고 벅구놀이로 받는다.### 본문 세종특별자치시의 탄생은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충청권 신행정수도’ 공약으로 거슬러간다. 실행 과정에 반발도 있고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여러 절차를 거쳐 2012년 7월 충청남도에서 독립해 대한민국의 유일한 특별자치시로 정식 출범했다. 모두에게 익숙한 도시 이름은 세종대왕에서 따왔다. 대부분 기능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고 균형 발전을 이루기 위해 만들어진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신도시다. 그러나 대중에게 잘 알려진 동(洞) 권역을 조금만 벗어나면 조치원권(조치원읍), 연기권(연동면·연기면 등), 전의권(전의면·소정면·전동면 등) 등 전통마을이 산재한 지역을 만나게 된다. 세종시는 2016년 국립민속박물관과 공동 주관해 ‘세종민속문화의 해’를 선포하고 지역의 민속문화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며 전시, 축제, 학술대회, 교육 행사 등을 연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 개발에 따라 삶의 터전을 내준 토착민과 새롭게 활력을 불어넣는 이주민이 공존하는 독특한 민속문화의 풍경을 엿보기도 했다. 그리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한국민속예술제에 출전한다. 지난 대회에는 지역색이 물씬 풍기는 조치원장터 웃다리풍장을 선보였다. 올해는 조치원·공주·대전의 삼각 지점인 덕에 대평리장이 크게 섰던 대평리를 중심으로 당시 이뤄지던 마을의 걸립 풍장을 만날 수 있다. 오래전에는 대평리를 구성한 7개 자연마을 가운데 5개 마을이 함께 마을 고사를 올렸다. 쌍탑제·농기고사·거리제 등 마을마다 각각 다른 고사를 올리기도 했지만, 걸립 풍장을 할 때만큼은 재화와 쌀을 모아 함께한 것이다. 공공의 자금이 필요할 때면 이를 위해 풍물패를 조직하고, 굿을 해주며 돈과 곡식을 걷는 걸립은 사실 어느 마을에나 존재했다. 그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주로 정월 대보름에 마을 풍물패가 각 가정을 돌며 마당밟이(지신밟기)를 해주고 돈과 곡식을 걷는 것이었다. 마을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였지만, 그보다 정초를 맞아 액막이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이 컸다. 마을에 따라 지신밟기의 구성은 다양한데, 집마다 방문하고 나서 마을 공터에 모여 판굿을 하는 경우도 있고, 쥐불놀이하며 귀신을 내치는 사례도 있다. 대평리 마을의 걸립 풍경을 어떠했을지 기대하며 만나보자.

과장 구성

  1. 농기 모시기 : 정초 마을 고사를 위해 농기를 세우고 인사를 올린 뒤, 고사를 지낸다.

  2. 걸립 풍장 앞마당 : 농기를 모신 후 다 함께 마을 공터로 나와 걸립 풍장을 준비한다. 한 줄로 서서 첫 번째 집으로 이동한다.

  3. 대문 앞 마당(문굿) : 길군악을 치며 마을 골목길을 지나 집에 도착한다. 풍장패를 이끈 축원꾼(상쇠)이 소리를 높이면 주인이 이들을 맞이한다.

  4. 집안 풍장 고사 : 집안의 네 곳을 돌며 풍장 고사를 지낸다. 우물에서는 새 물을 받아놓고 용신께, 부엌에서는 솥뚜껑을 엎어 놓고 조왕신께, 장독대 앞에선 칠성 단지 앞에 소박하게 제수를 차려놓고 칠성신께, 마당에서는 쌀과 돈, 풍장패가 먹고 마실 음식을 고사상에 차려두고 성주신께 고사를 올린다. 이후 모두가 음식을 나눠 먹고 마시며 한바탕 놀이마당을 펼친다.

  5. 대동놀이마당 :

다시 마을 공터로 이동한 뒤 대동계장이 걸립 풍장을 잘 마쳤다고 고한다. 이듬해의 무사태평을 기원하고, 마을고사가 잘 치러지도록 풍장판을 한바탕 펼치고 마무리하며 퇴장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종목소개서 * 발행일 : 2023년 9월 22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