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광산농악(2023청소년,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인원 | 71명 |
참여단체 | 대촌중학교 |
수상(단체상) | 최우수상 (교육부장관상) |
수상(개인상) | 지도상 (이현경) |
종목소개
본문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영산강 상류의 황룡강과 극락강을 끼고 드넓게 펼쳐지는 송정리 일대 서석평야와 마주한 곳이다. 지리적 특성 덕에 예부터 농업을 생계로 하는 이들이 많았고, 자연스레 전통적인 농경 문화가 이곳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았다. 농업 현장에는 풍장이 빠지지 않는 법이니 두레와 농악 역시 이곳의 풍경을 이루게 됐다. 광산농악은 일제 강점기와 농촌의 도시화를 거치며 맥이 끊어졌다가 1988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전라남도로부터 광주광역시로 독립해 출전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광역시 내 다섯 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큰, 광주 면적의 절반에 가까운 땅을 차지하고 있는 광산구는 전라남도 함평·장성·나주 등과 이웃하며, 지리적 특성상 호남우도농악에 속한다. 1988년 대회에 ‘광산소촌농악’, 1989년에는 ‘광산미륵농악’ 등 이름으로 출전한 기록이 있는데, 오늘날에는 ‘광산농악’으로 정착했다. 광산농악은 마륵동의 판굿농악을 중심으로 칠석동의 고싸움놀이농악과 소촌농악, 산월동의 풍장농악, 옥동(평동)과 유계동(동곡)의 걸립농악 등 이 지역에서 연행되는 다양한 농악을 포괄한다. 오늘날에 선보이는 형태는 마륵동 판굿농악을 근간으로 정립한 것이다.
광산 지역의 농악은 정월 대보름이면 집집을 돌면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연행한 마을굿이다. 당산굿을 치고 난 후에는 돌아다니며 마당밟기를 했다. 부잣집에서는 판굿을 열고 농지 근처에서는 풍장굿을 했는데, 현재는 판굿 위주로 전승되고 있다. 전체 구성은 마을굿의 전통과 걸립굿의 형태가 일부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쇠가락의 특징은 시작과 끝을 분명히 함으로써 장면의 전환을 명확하게 한다는 점, 호남우도농악을 구성하는 가락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호남우도농악이 가진 다채로운 가락과 변화무쌍한 진법, 잡색들이 보여주는 퍼포먼스, 치배들의 고깔짓과 부포놀음, 그리고 마지막 구정놀이까지.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이 모든 참여자가 각각 개성 넘치는 몸짓과 가락을 보여준다.
가락은 일채·이채·삼채 모는 가락이 모두 등장하는데, 본굿에는 삼채와 일채형 가락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또한 굿(농악)의 각 거리에서 나타나는 가락의 맺고 끊음이 확실해 전체 흐름을 파악하기 쉬운 것이 광산농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앞가락과 뒷가락이 쌍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주고받으며 연주하는 음양법으로 이뤄진다. 다른 지역의 농악과 구별되는 점은 오채질굿에서 드러난다. 이처럼 광산농악은 가락의 변화와 기교가 다양하고, 잡색의 편성이 조직적이고 다채롭게 꾸려진 것이 주목할 만하다.
과장 구성
굿머리와 입장굿 : 어름굿으로 굿머리마당의 시작을 알리면 상쇠가 잦은일채-이채-된삼채가락을 마치고 다시 잦은일채로 입장해 인사굿을 올린다.
오채질굿과 된오채질굿 : 상쇠가 오채질굿을 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된오채질굿으로 바뀌면 시계 방향으로 돈다.
늦은일채굿(풍류굿) : 원진을 만든 상태에서 각자 자신의 자리를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마당으로, 상쇠가 늦은일채가락을 내면 회전과 전진을 반복한다.
벙어리삼채와 벙어리일채 : 늦은일채굿에서 벙어리삼채로 전환한다. 잡색들은 따로 원을 만들고, 치배들은 긴 원을 만들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전진하기를 반복한다.
삼채 : 삼채가락에 맞춰 모든 치배가 11자 진을 만든다. 마주 보고 서서 밀고 당기며 놀음을 벌인다.
반삼채와 매도진 : 반삼채에 맞춰 모두가 뒷걸음질하며 다시 원진으로 바뀐다. 매도진(맺음삼채·매도지)에 맞춰 가락을 조이며 마무리한다.
오방진과 진오방진 :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으로 진을 치는 모습을 형상화한 오방진마당. 오방진과 진오방진가락으로 덕석몰기를 한다.
구정놀음 :
치배들이 개개인의 기량을 한껏 보여주는 마무리 마당. 차례로 소고놀이-북놀이-쇠놀이-설장구놀이-열두발상모놀이-잡색놀이가 진행되며, 상쇠가 판을 끌어내고 마무리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1992년 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종목소개서 * 발행일 : 2023년 9월 22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